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을 읽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6 12:43
본문
Download : 20061m_dongseoyanggo.hwp
즉 그들은 권력을 정치 영역 밖에 근원과 기원을 갖고 있는 ‘자연적 강제력’으로 이해했다. 여기에서 프랑스 혁명 참가자들은 스스로 모든 권력을 인민에 의해서 생성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미국 혁명 참가자들은 권력이 정치 이전에 존재하는 자연적 폭력과 대립된다고 생각했다. 미국 혁명 참가자들은 다른 모든 국민들이 필연적으로 실패한 곳에서 그들이 성공하게 된 요인을 매우 잘 알고 있었다. 왕과 기존의 권력자들이 자연적 강제력에 이해 이미 제거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혁명 참가자들 역시 이 강제력에 의해 제거됐다. 그들이 생각하기에, 인민이 약속, 서약, 상호 맹세를 통해 함께 모이고 서로 결속할 때, 그곳에만 권력이 존재했다. 그리고 권력은 상호 약속을 통해 결속되었으며, ‘혁명을 성공시키기에’ 충분했지만, ‘영구적인 연합’을 형성하기에는 결코 충분치 않았다. 호혜성과 상호성에 기반을 두고 있는 권력만이 실질적이고 정당한 권력이다. 즉 그것은 “상호 신뢰” 였으며, 보통사람들에 대한 신뢰의 힘” 이었다.
Ⅱ 讀後感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을 읽고서
한나아렌트 혁명론 자유의확립
Ⅰ 요약 : 건국I : 자유의 확립 p.293 ~ p.338
순서
Download : 20061m_dongseoyanggo.hwp( 56 )
한나아렌트 혁명론 자유의확립 / ()
프랑스 혁명 참가자들이 모든 권력은 인민에 있다고 언급했을 때, 그들은 권력을 정치 영역 밖에 근원과 기원을 갖고 있는 ‘자연적 강제력’ 으로 이해 하였다. 그리고 프랑스에서는 왕과 의회사이의 갈등이 미국의 구성 조직과 영국 政府(정부) 사이의 갈등과 완전히 다른 결과를 초래했다. 그 이유는 전적으로 이러한 구성 조직들의 전혀 다른 성격에 있따 왕과 의회 사이의 균열은 실제 프랑스 국민 전체를 ‘자연 상태’로 몰아넣었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나아렌트 혁명론 자유의확립 / ()
다. 반면 왕이나 군주 또는 귀족들의 이른바 권력은 상호성에서 발생하지 않고 기껏해야 동의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허위이며 결국 찬탈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초인적 인력을 가진 것으로 경험되었으며, 모든 유대와 정치조직 밖에 있는 다수의 폭력이 누적된 결과로 인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