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시계에 대한 고찰 > field1 | field.co.kr report

시계에 대한 고찰 > field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1

시계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18:34

본문




Download : 시계에 대한 고찰.hwp




김조와 장영실이 합작하여 만든 이 자격루는 흐린 날씨와 밤에서도 시간을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는 물시계 특유의 advantage과 자동적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해시계의 advantage 모두를 지니고 있었다.


Download : 시계에 대한 고찰.hwp( 92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설명


●시계
●歷史(역사)
●한국의 시계歷史(역사)
●시계의 종류


●한국의 시계歷史(역사)
한국에서도 큰 시계의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역시 밤이나 흐린 날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해시계 특유의 단점에서 벗어나지는 못했다. 특히 조선 세종 때 장영실 등이 만든 해시계 앙부일구와 물시계 자격루를 발명한 것은 커다란 진전이었다. 계절에 따라 달…(To be continued )









●시계

순서
시계에 대한 고찰●시계 , 시계에 대한 고찰기타레포트 ,
시계에 대한 고찰

시계에 대한 고찰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1.gif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2.gif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3.gif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4.gif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5.gif 시계에%20대한%20고찰_hwp_06.gif
다. 앙부일구는 계절과 시간을 모두 알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시계였으며 고대의 단순한 해시계보다 훨씬 세련되고 정교했다. 자격루는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자동적인 시계로 정확도도 높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조선 후기까지 쓰였으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든 휴대용 앙부일구도 있었다. 하지만 이 자격루는 오래 사용되지 못하고 현재는 중종 때 다시 만든 자격루의 일부만이 남아있다

1. 앙부일구
앙부일구는 조선 세종 때 장영실 등이 처음 만들었다. 현재는 매우 적은 앙부일구만 남아 대한민국 보물 845호가 된 것도 있다

2. 자격루
자격루는 조선 세종 때 김조와 장영실이 만든 자동시보장치 물시계이다. 처음 자격루는 경복궁 남쪽에 있는 보루각에 설치되었다. 솥뚜껑처럼 생겼다하여 앙부일구(仰釜日晷)라 이름 붙였다.
전체 18,19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