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理論) / 올포트의 특질이론(理論) GORDON ALL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6 17:22
본문
Download :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hwp
② 올포트는 현재를 결정하는 데 과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신분석의 결정론적인 입장에 동의하지 않음, 올포트는 우리가 아동기의 갈등과 과거 경험에 매여 있는 존재가 아니라고 보았음. ③ 프로이트가 신경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던 것처럼 심리적 문제를 갖고 있는 피험자들로부터의 data(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반대, 프로이트가 정상 성격과 비정상 성격간의 차이를 정도의 차이라고 제안한 반면에 올포트는 두 성격의 구분이 분명하다라고 생각(Schultz & Schultz, 1998, p. 230). ⊙ 올포트의 성격이론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 개인의 특질을 定義(정이)함으로써 성격의 독특성을 강조한 점, 그의 이론은 양적 연구라기보다는 생활과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라고 볼 수 있음(손정락, 1997). 이런 점에서 올포트는 성격 연구의 방법으로 법칙정립접근보다 개체기술접근의 입장을 취하였음. ■ 올포트(Gordon Willard Allport, 1897-1967)의 생애 미국 인디애나 주 몽테주마(Montezuma)에서 4형제 중 막내로 출생. 하버드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있던 형(Floyd)의 권유로 하버드 대학에 입학하여, 심리학을 전공. 후에 형은 사회심리학자로서 명성을...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1034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C%A1%ED%95%99%5D%20%EC%98%AC%ED%8F%AC%ED%8A%B8%EC%9D%98%20%ED%8A%B9%EC%A7%88%EC%9D%B4%EB%A1%A0-1034_01_.gif)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1034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C%A1%ED%95%99%5D%20%EC%98%AC%ED%8F%AC%ED%8A%B8%EC%9D%98%20%ED%8A%B9%EC%A7%88%EC%9D%B4%EB%A1%A0-1034_02_.gif)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1034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C%A1%ED%95%99%5D%20%EC%98%AC%ED%8F%AC%ED%8A%B8%EC%9D%98%20%ED%8A%B9%EC%A7%88%EC%9D%B4%EB%A1%A0-1034_03_.gif)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1034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C%A1%ED%95%99%5D%20%EC%98%AC%ED%8F%AC%ED%8A%B8%EC%9D%98%20%ED%8A%B9%EC%A7%88%EC%9D%B4%EB%A1%A0-1034_04_.gif)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1034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5%90%EC%9C%A1%ED%95%99%5D%20%EC%98%AC%ED%8F%AC%ED%8A%B8%EC%9D%98%20%ED%8A%B9%EC%A7%88%EC%9D%B4%EB%A1%A0-1034_05_.gif)
설명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理論) / 올포트의 특질이론(理論) GORDON ALLPORT
Download :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hwp( 44 )
다. 올포트의 특질이론(理論) GORDON ALLPORT 1897-1967 ■ 들어...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교육학 올포트의 특질이론 / 올포트의 특질이론 GORDON ALLPORT
올포트의 특질이론 GORDON ALLPORT 1897-1967 ■ 들어...
올포트의 특질이론 GORDON ALLPORT 𠌹-1967 ■ 들어가며... ⊙ 특질은 결정짓는 경향 혹은 反應(반응)에 기여하는 소인. ⊙ 올포트의 성격이론이 성격연구에 기여한 점 ① 성격심리학을 과학적 심리학의 영역으로 포함시킨 점. ② 특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성격이론을 형성시킨 점.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대한 세가지 비판 ① 무의식의 힘이 정상적이며 성숙된 성인의 성격을 지배한다는 프로이트의 입장을 수용하지 않음, 대신에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합리적이며 의식적으로 기능하며 그를 동기화시키는 힘을 자각하고 통제한다는 것을 제안, 올포트에 따르면 무의식은 신경증이나 혼란스러운 행동에만 단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