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0 19:21
본문
Download :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hwp
일찍이 수(隋)당대(唐代)에는 임유관(臨楡關), 요(遼)금대(金代)에는 천민현(遷民縣)천민진(遷民鎭) 등으로 불렸다.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처음 되는 곳으로, 교통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이다. 북경을 정복한 청나라는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이후 오삼계의 군대도 청나라 군대에 괴멸되었다.
산하이관이란 지명은 14세기 초 명대(明代)에 성을 쌓고 산해위(山海衛)를 설치하고 군대를 주둔시킨 데서 由來되었으며, 산과 바다 사이에 있는 관[關]이라는 뜻이다.
산해관성 만리장성 동문서루 서쪽의 위층 처마 밑에는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이라고 적힌 대형 현판이 걸려 있다아 현판은 길이 5.9m, 글씨체의 높이가 1.6m이며, `일(一)`자의 길이가 1.09m에 이른다. 하지만 이자성에 의해 북경이 이미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오삼계는 다시 산해관으로 들어가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다. 현판의 글씨는 왕헌지(王獻之)가 썼다고도 전하지만, 실제로는 명나라 헌종(憲宗) 때인 1471년 이곳 태생인 소현(蕭顯)이 쓴 것이다
특히 명나라 말(末) 이자성에 의해 북경이 위협을 받게 되자 산해관을 지키고 있던 오삼계가 50만 대군을 이끌고 북경으로 진군하였다. 유관[楡關]이라고도 불린다.
북서쪽으로는 옌산산맥[燕山山脈], 동쪽으로는 보하이만[渤海灣]에 접해 있다아 이곳에서 남쪽으로 4km 되는 곳이 난하이커우관[南海口關:老龍頭]으로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처음 되는 지점으로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북제(北齊) 때 이루어진 것이다. 수(隋)나라 때 임유관(臨制 關)이라 일컬었지만 현재보다 약간 서쪽에 위치하였고 …(To be continued )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Download :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hwp( 56 )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 ,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자연과학레포트 ,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1.gif)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2.gif)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3.gif)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4.gif)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5.gif)
%20%EC%A7%80%EC%97%AD%EC%97%B0%EA%B5%AC_hwp_06.gif)
연행록,속,산해관(山海關),지역연구,자연과학,레포트
다.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지역연구
순서
연행록 속 산해관(山海關)
①산해관(山海關) 개황1)
산해관은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이다. 마침 북경을 함락한 이자성이 오삼계의 아버지와 애첩 진원원(陳圓圓)을 잡아가자 오삼계는 청나라에 협조하게 된다 오삼계는 이자성을 물리치기 위해 청나라의 도움을 받기로 결정하고 철옹성인 산해관을 문을 청군에게 열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