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少年(청소년) 의 통신언어 文化(culture) 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18:08
본문
Download :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hwp
.
가. 통신언어의 槪念과 특징
새로운 통신 언어의 생산에 가장 많이 기여를 하는 youth 누리꾼들은 다른 어떤 계층보다도 통신 언어를 익히고 활용하는 속도가 빠르며 그 유통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사용하고 만들어 내는 언어는 매우 다양한 방식과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진 통신 상황에서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하나의 사회적 방언으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들의 文化가 반영된 의사소통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다
4. 성명희(2001)는 통신언어의 정이를 PC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대화, 전자 게시판, 전자 토론 등에서 내용 전달에 주로 이용되는 언어라 규정하였으나 적용 범위를 PC에 한정시킴으로써 다른 전달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을 간과한 면이 있다
설명
3. 권연진(2000)은 통신언어에 대한 정이를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성, 문자를 총칭하는 광의의 의미로 정이하였다. 통신이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억압적 상황으로 받아들여지는 규범의 틀에서 벗어남으로써 자유로운 마음 상태를 느끼기 위해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규범에 어긋나는 언어 형식을 사용하려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정보화 시대의 산물인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보급으로 더욱 가속화 되었다. 컴퓨터는 이미 대부분의 가정과 학교에 보급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네트워크와 인터넷(Internet) 발전은 우리 생활을 여러 모로 바꾸어 놓았다.
-------------------------------------------------------------------------------------------------------------------------------
통신상에서 사용하는 언어들이 국어의 규범적인 틀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도 많지만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youth 누리꾼들의 뚜렷한 의도와 목적이 반영된 적극적 언어 행위의 결과이며,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언어 형태를 사용하고자 하는 youth 세대의 언어 의식의 산물이다. 글자 입력을 빠르고 쉽게 하기 위한 경제적 동기에서 나타난 통신언어 유형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기 음절 줄이기, 붙여 적기 등의 문법적 현상이 있다 둘째 표현적 동기이다. 따라서 다양한 component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 내는 통신 언어의 다양한 종결방식들은 이미 한국어의 풍부하고 중요한 언어 자료이며, 통신 환경에서 쓰이는 사회 방언의 일부로 인정 받아야 한다.
1. 통신언어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해
주제어: 통신 언어, 의사소통, 방언, 文化
현대 우리사회는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빠른 變化(변화)를 거듭해 왔다. Ⅰ. 서 론
靑少年(청소년) 의 통신언어 文化(culture) 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2. 박현구(1997)는 통신언어를 ‘유사 언어’의 槪念으로 정이하였는데, ‘유사 언어’란 말이나 글로 표현되는 인간 언어 유형에 속하지 않으면서 보완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상징체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통신 언어는 더 이상 누리꾼들에게 특별하거나 비일상적인 것이 아니라 친숙한 일상어가 되어가고 있다
靑少年(청소년) 의 통신언어 文化(culture) 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youth의 통신언어 文化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레포트 > 기타
나. 통신언어 형성 동기
靑少年(청소년) 의 통신언어 文化(culture) 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통신 언어는 일상어와는 형태와 의미가 크게 다르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말들이 많아서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낯설고 불편하다. 이에 따라 우리가 쓰는 언어도 통신언어의 影響(영향)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통신 언어는 사용 세대와 수, 분포 지역, 자료량의 측면에서 특정 세대의 젊은이들이 잠시 쓰다 버릴 종류의 가벼운 것이 아니라,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세대는 점점 더 확장될 것이다.
통신언어의 형성은 타자를 빨리 치기 위하여, 표기법이나 뛰어쓰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대화 구성원들과의 동질감을 위해서, 통신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단수한 재미를 위해서 쓴 것이다(이형일, 2006:14~15) 또한 이정복(2003)은 통신언의 형성 동기를 다음과 같다. 그에 따라 의사소통 매개체인 언어 또한 급격한 變化(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통신 언어가 일시적으로 쓰이다가 사라지는 유행어라 인식하여 연구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컴퓨터와 인터넷(Internet) 공간이라는 상황이 만들어낸 언어로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가 통신언어다. ‘통신언어’를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로서 인터넷(Internet) 채팅 언어, 개인 홈페이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 네트워크 게임 상의 게임 언어, 전자 게시판 언어, 휴대전화 문자 언어 등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하고자 한다. 다섯째, 심리적 해방 동기이다. 셋째, 오락적 동기로 글자의 모습이나 그 배열을 바꾸어 수수께끼나 암호와 같이 만들고 그것을 다시 해독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려 하는 것이다. 글자로 전달하기 어려운 감정, 얼굴 표정 등을 그림이나 기호로 바꾸어 분명하게, 빠르게 전달하는 현상은 글자에 크게 의존하는 통신 환경의 제약을 뛰어넘어 의사 표현을 충실히 하려는 표현적 동기에서 나온 것이다.
통신 언어가 지닌 언어적 特性(특성)과 그 變化(변화)의 바탕은 youth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다 youth들의 언어는 어느 시대에나 기성세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變化(변화)해온 것이 사실이지만 인터넷(Internet)은 개방성, 속도, 파급력의 면에서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강력하며, 인터넷(Internet)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사용의 새로운 모습들은 인터넷(Internet)의 그러한 特性(특성)에 힘입어 통신 이용자들, 특히 youth 누리꾼들에게 널리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얻는 정보는 방대한 양을 자랑하며 매우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상에서 만난 사람들과의사소통을 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일상적 인간 관계를 맺는 것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순서
Download :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hwp( 17 )
1. 통신언어는 통신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로서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는 언어이다. 전체적으로 긴 생명력을 가진 한국어의 일부 인 것이다. 넷째 인터넷(Internet) 통신 이용 상황에서 통신 화자들이 같은 언어 기호를 사용함으로써 동류라는 의식을 갖게 되거나 동질감을 강하게 느끼려고 하는 것을 유대 강화 동기라 부른다. 이는 컴퓨터 매개 환경에서 부족한 의사소통의 사회적 맥락 단서를 복구하기 위한 시도로 고의로 어법을 왜곡, 변용하거나 새로운 상징체계를 만들어서 의사소통을 하는 언어 표현을 말한다. 뿐만 아니라 욕설이나 폭언이 그대로 노출되는 特性(특성) 때문에 언어 파괴의 주범으로서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
청소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통신언어는 친구들과 인터넷(Internet) 채팅을 할 때, 휴대 전화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친구들과 가상 공간에서 댓글을 달 때, 심지어는 일기나 편지, 학교 해결해야할문제, 수행평가 등 일상 생활에서도 통신언어의 사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5. 이정복(2003)은 통신언어를 컴퓨터 통신, 인터넷(Internet), 휴대 전화나 PDA등의 다른 디지털 매체의 의사소통에서 쓰는 문자 언어라 정이하고 있다



靑少年(청소년) 의 통신언어 文化(culture) 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다. 첫째 가장 강력하고 기본적인 경제적 동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