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창작학과] [문학과예술혼]독서 감상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28 20:21본문
Download : 문학과예술혼.hwp
과연 그들의 예술혼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작가는 어떻게 그것을 읽어내는지 살펴보고 싶다.
『작가는 작품으로 자신의 존재를 입증한다.』 (저자 서문에서)
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문예창작학과] [문학과예술혼]독서 감상문(report)
문학/예술혼/비평/창작/접점
문학과 예술혼을 읽고 느낀 점과 내용 요약을 토대로 창작과 비평사이의 접점을 찾았다.
문학과 예술혼을 읽고 느낀 점과 내용 요약을 토대로 창작과 비평사이의 접점을 찾았다.
Download : 문학과예술혼.hwp( 62 )
설명
순서





현대문학 1백년에 이른 우리 작가들, 개화 세대의 교사였던 이광수에서부터 동시대의 이야기꾼 천운영에 이르기까지 우리 문학의 대표 작가들은, 모두 이 예술혼을 끌어안고 혹은 불사르며 작품을 썼다. 한국현대소설문학에서 작가의 꿈과 상상력, 작가의 좌절과 초월은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되었는가. 시대를 향한 작가의 기개와 정신적 모험은 어떻게 소설로 재탄생되는가. 저자는 그 중심에 예술혼이 있다고 본다. 작가를 작가이게 하고, 문학을 문학이게 하는 그 무엇인 예술혼. 저자는 한국 현대소설문학 1백 년을 이끌어온 힘 또한 예술혼이라고 말한다.
한 작가가 자신의 이름 석 자를 걸고 내놓은 작품의 가장 밑바탕에 잠복해 있는 것이 무엇일까? 세상의 명리나 이해타산으로 좌우할 수 없는 근원적이며 본질적인 그 무엇, 작가를 작가이게 하는 추동력을 발양하는 그 무엇을 우리는 ‘예술혼’이라 호명할 수 있겠다. 저자는 예술혼이야말로 우리 문학사와 작품 세계를 이끄는 힘이었다는 관점 아래, 예술혼의 존재 양식과 발화 유형, 그것이 당대적 삶 또는 통시적 시대사와 부딪치고 reaction response하는 형상을 좇아, 한국 현대문학의 주요 작가 32명을 탐조하였다.
이 책은 근대의식의 개화기에 우주론적 이상주의를 꿈꾸었던 이광수부터, 일제 강점기 이래 문학적 삶의 모범을 보여준 황순원, 분단의 비극과 화해의 길을 제시한 윤흥길, 산업사회의 꿈과 절망의 형상을 보여준 조세희, 그리고 새로운 모험주의의 소설을 내놓은 천운영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작가 작품론이다. 작가는 문학이라는 다리를 건너며 세상과 만나고 삶의 의미를 좇는다. 그로 인한 창작열의 치열함과 표현 방식의 정치함이 집적되어 한국문학사를 이룬 형국이고 보면, 작가의 가슴 속에서 발아한 예술혼이야말로 유목 생활에서 농경 정착 생활로의 變化가 가능하게 한, 그리고 인류 문명 세계의 모태가 된 ‘볍씨’의 지위와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