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물리 예비/결과 AC Circuit(교류 회로) / Impedance (임피던스) (커패시더, 인덕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1 15:02
본문
Download : exp 05.pdf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
순서
실험물리 예비/결과 AC Circuit(교류 회로) / Impedance (임피던스) (커패시더, 인덕터)
임피던스,커패시더,인덕터,축전기,자연과학,레포트
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레포트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즉 무시할 정도가 아닐것이다.
예비 보고서 (프리 보고서, 예비 보고서)
1. 實驗(실험) 목표(目標)
2. 이론(理論)
3. 재료 및 장비
4. 實驗(실험) 방법 (과정)
5. 참고 문헌
결과 보고서 (결과 보고서)
1. 實驗(실험) 결과 정리(整理) (實驗(실험) 데이터)
2. 분석 및 토의
3. 참고 문헌
1.1. 커패시터와 용량성 리액턴스
1.1.1. (12V DC) LED와 커패시터
커패시터의 충전에 눈에 띠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함수발생기의 출력 모드를 High-Z로 바꾸면 1V에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즉 표에 표기한 전하량에 못 미치는 양 만큼 충전되었을 것이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report와 결과report를 병합하여 올립니다. 따라서 理論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分析(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구한 에 충전한 시간을 대입하면 이론(理論)적으로 어느 정도 충전되었을지 구할 수 있따 實驗(실험)을 진행할 때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이 12V가 채 되지 않았다. 이하 實驗(실험)에서는 High-Z모드로 제대로 설정했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 LED의 저항을 무시하고 RC직렬 회로에서 키르히호프 법칙을 사용하면 전원을 이라 했을 때 가 된다 , 임을 이용하면 의 미분방정식을 얻는다. 대략 2배 정도 측정(測定) 되었으므로 함수 발생기의 내부 저항에 비해 출력 저항이 월등히 크다는 뜻이다. 이는 저항 과 LED의 저항 때문일 것이다.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1.1.2. (1.0Vrms 1kHz) 용량 리액턴스 측정(測定) RC회로
함수발생기에서 설정 했으나 전압을 1.0Vrms로 설정했지만, 출력 저항을 제대로 설정하지 않고 50Ω으로 하는 실수를 하였다. 따라서 이론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실험물리 예비/결과 AC Circuit(교류 회로) / Impedance (임피던스) (커패시더, 인덕터)자연과학레포트 , 임피던스 커패시더 인덕터 축전기
Download : exp 05.pdf( 69 )
설명
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report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 미분방정식을 풀고 처음 전하량을 0이라 놓으면 가 된다 시간이 무한히 지난다면 ()만큼 충전이 될 것이다.
레포트/자연과학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레포트와 결과레포트를 병합하여 올립니다.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합성저항 은 세 경우가 비슷한 것을 보…(省略)
다.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 합성 전압은 으로 구하였는데 이 값이 1V가 되었어야 의도한 대로 實驗(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實驗(실험)을 진행하는 짧은 시간동안 에 근접하지 못한 전하량만을 얻었을 것이다. 커패시턴스(전기용량) C는 직렬과 병렬에서 0.0999, 100.1이고 R=1kOhm이므로 RC는 각각 99.9, 10xxx0가 된다 대체로 시간상수 로 놓는데, 가 된다 즉 직병렬 각각 99.9, 10xxx0초 후에 63%가 충전될 것이라는 뜻이다.
X_C 實驗(실험)값과 이론(理論)값의 오차율은 커패시턴스가 낮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0.01uF에서는 상당히 큰 오차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