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說明(설명) 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1 22:36
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하시오.hwp
다음의 한글 맞춤법 30항의 1. (3)과 2. (3)에 그 예들이 나와 있습니다.
다음의 한글 맞춤법 30항의 1. (2)와 2. (2)에 많은 예가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說明(설명) 하시오.
위 요약정리(整理) 잘되어 있으니
다. 그리고 이 단어를 발음할 때 [서우력]이 아니라 [서울력]으로 발음합니다.설명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說明(설명) 하시오.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D형
Download :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하시오.hwp( 43 )
,기타,레포트
학업에 나날이 발전 있으시고
순서
레포트/기타






한글맞춤법에서사이시옷의표기규정을요약하고구체적인용례를들어說明(설명) 하시오
1. 사이시옷의 표기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가. 사잇소리와 합성어
2. 사잇소리 현상
1) 사잇소리의 적기
2) ‘ㅂ’ 소리가 덧나는 복합어의 적기
3) ‘ㅎ’ 소리가 덧나는 복합어의 적기
1. 사이시옷의 표기
예를 들어 `서울역` 같은 경우 순 우리말 `서울`과 한자어 `역(驛)`이 합해져서 합성명사가 되었으며 `역`이 `ㅕ`로 스타트되는 말입니다. 한글맞춤법에서사이시옷의표기규정을요약하고구체적인용례를들어설명하시오 ,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하시오.기타레포트 ,
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처럼 `서울역`은 발음할 때 `역`에 `ㄴ`이 느닷없이 첨가되어 [서울녁]으로 발음됩니다. 그런데 `ㄹ`다음에 `ㄴ`이 오므로 [서울녁]이 [서울력]으로 자음동화를 일으키게 되고요. 이러한 발음 현상을 사잇소리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ㄹ`이 첨가되어 발음되는 것이죠. 그런데 이 경우에는 `ㄹ`이 첨가되었다고 하는 것보다는 `ㄴ`이 첨가되었다고 하는 편이 더 설명(explanation)하기에 편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말에서는 `ㄹ` 다음에 `ㄴ`이 오면 자음동화에 의해서 `ㄴ`이 `ㄹ`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잇몸`을 …(생략(省略))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D형위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학업에 나날이 발전 있으시고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눈요기`[눈뇨기]도 그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