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회화의 발전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0 00:04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회화의 발전사.hwp
2. 조선시대 중기의 회화
조선 중기(1550-1700)는 명종 연간부터 후기의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전인 숙종 연간까지로 잡는다.



Download : 조선시대 회화의 발전사.hwp( 95 )
조선시대의 회화의 발전과정을 초기, 중기, 후기, 말기 네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징과 대표적 작가와 작품등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보고서에 본 자료(資料)가 많은 참고가 되시리라 생각하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 남송원체 화풍을 띠는 작품으로는 이상좌가 그린 것으로 전해오는 〈송하보월도(松下步月圖)〉를 들 수 있는데, 소나무를 그리는 법에서 남송대 마원(馬遠)의 화풍을 볼 수 있따 또한 강희안의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는 덩굴풀이 우거진 절벽과 인물이 있는 소경 산수인물화로서 구도 면에서 절파풍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따
조선 전기에는 여러 화풍이 유입되어 다양한 화풍의 그림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흐름을 이룬 것은 이곽파 화풍을 기반으로 한 안견파 화풍일 것이다. , 조선시대 회화의 발전사기타레포트 ,
설명
,기타,레포트
순서
다. 그러나 조선 전기의 작품은 그 후 겪게 되는 임진, 병자 양란으로 남아 있는 작품이 매우 적고 대부분이 전칭 작품(傳稱作品)이어서 전반적인 경향을 짐작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이때는 1592년에 일어났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병자호란, 정묘호란 등 계속되는 …(생략(省略))
조선시대의 회화의 발전과정을 초기, 중기, 후기, 말기 네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징과 대표적 작가와 작품등에 마주향하여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레포트/기타
조선시대 회화의 발전사
1. 조선시대 초기의 회화
2. 조선시대 중기의 회화
3. 조선시대 후기의 회화
4. 조선시대 말기의 회화
이외에도 남송대의 원체 화풍(院體畵風)과 남종 문인화풍인 미법산수(米法山水), 절파 화풍도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 본 자료가 많은 참고가 되시리라 생각하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