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7 10:15
본문
Download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hwp
대리적 강화의 effect(영향) 을 받은 예로 설명(explanation)하자면 만일 그 이웃 사람이 욕설을 했을 때 이에 대해 칭찬을 받는 것을 본다면, 소년은 그를 모방할…(To be continued )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글입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기타,레포트
순서
라. 동기유발 또는 강화과정
우리는 observation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행동을 실제로 수행할 수도 있고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아 예를 들면, 한 소년이 이웃 사람이 어떤 비속한 말을 사용하는 것을 듣고서, 그러한 새로운 단어들을 배울 수는 있으나 그 단어들을 재생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아
사회학 理論(이론)에서는 이처럼 어떤 행동의 획득과 수행을 별개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아 그러면 모델의 어떤 행동은 수행이 되고 어떤 것은 그렇지 못한가? 이 같은 물음에 대해 반듀라는 동기과정과 강화과정으로 설명(explanation)하였다, observation을 통하여 학습한 행동을 행동으로 옮기도록 유인 받게 되면 모델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기억을 하도록 동기화 시킬 필요가 있다아 만약 동기가 없다면 주의, 파지, 운동재생과정들이 적절히 수행되지 않지만, 동기와 이런 과정들이 결합되면 복잡한 사회적 행동의 습득과 수행이 촉진될 수 있다아 이러한 동기화는 주로 강화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동기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는 외적 강화, 대리적 강화(모델에게 발생한 결과를 보는것), 자기강화(우리가 우리 자신의 생동에 대해 내리는 평가)가 포함된다된다. 위의 예에서 만일 그 소년이 과거에 욕설을 하는 것에 대상으로하여 존경과 찬사를 받은 적이 있다면, 그는 그 이웃 사람을 모방하려 할 것이다. 강화의 기능은 어떤 정면에서 어떻게 reaction response하면 강화를 받을 수 있는가에 관심을 기울인다.
Download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hwp( 47 )
레포트/기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글입니다. 그러나 만일 아무런 강화를 받을 수 없다고 예상이 되면 모델의 행동을 그대로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기타레포트 ,
설명
다. 반면에, 그러한 행동에 대하 벌을 받았다면, 그 이웃 사람을 모방하는 것을 주저할 것이다. observation자가 보상을 얻게 될 것 같으면 즉시 실제로 타인을 모방할 것이다. 만일에 어떤 모델의 행위를 모방함으로써 강화 받을 수 있다고 예상이 되면 그 행동은 보다 주의 깊게 그리고 잘 기억하려고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