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5:24
본문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hwp
여음의 정의(定義)와 기능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
1. 여음의 정의(定義)
다. 그리고 문학적인 의미로는 구비문학, 특히 구창문학인 시가 등에서 련(聯) 단위에 본 가사의 앞․뒤 가운데에 있어서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인 것이다. 예를 들어 [서경별곡]에 보이는 여음인 ‘아즐가’와 ‘위 두어렁셩 다링디리’에 있어서, ‘아즐가’는 앞의 어사를 강조하기 위해 넣은 여음이다. 그리하여 여음에 대한 명칭도 감탄구․口音(구음)․조율소(調律素)․조흥구․후렴구․반복구 등 다양한데, 이러한 명칭은 여음의 형태와 기능, 시가 본사에서의 위치 등을 고려함 없이 붙인 명칭에 불과하다 감탄구: 감탄사가 들어있는 구나 행임. 고려 속가에서 ‘아소님하’가 들어 있는 결사(結詞) 가 감탄구임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시가에서는 실사(實辭) 이외에 허사가 들어가거나 또는 시의 각 연마다 실사로 된 동일한 형태의 시행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아 이러한 것들의 명칭으로 시가의 뒤에 붙는 것을 흔히 ‘후렴’이라 부른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이 시가의 앞에 붙으면 전렴, 중간에 들어 있으면 중렴이라 할 수 있다아” 정경의, 앞의 논문, p.6
여음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소리가 사라지거나 거의 사라진 뒤에도 아직 남아 았는 음향이고, 음악 용어로는 성악곡에서는 노래는 쉬고 악기만 연주되는 부분을, 기악곡에서는 독주하는 악기는 쉬고 반주하는 다른 악기들만 연주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그러나 시가의 가정 원초적인 형식이 반복법과 여음의 사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고전 시가연구에서 여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이런 여음에 대하여 황희영 교수는, “여음이란 어디까지나 그야말로 nonsense verse격인 수사적 표현과는 무관한 기사적(記寫的) 의미는 별다른 뜻을 가지고 있지 않는, 여음구 자체의 음율적인 구절 형식을 의미하는 것.” 고려속가의 여음 연구 (정경의, 釜山大學校, 1997) p.5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설명
여음은 의미가 없는 구음으로 이루어지거나 악률을 도우기 위해 반복적으로 쓰여지거나 흥을 돋우기 위해 첨가되고 있어서 소홀히 취급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시가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며, 율격을 띠고 나오는 무의미(악기의 의성어 또는 현재로서는 뜻이 불분명
이라 하여 여음은 수사적 표현과는 무관한 것으로 별다른 뜻이 없으면서 음율적인 구절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 하였고, 정재호 교수는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hwp( 37 )
반복구: 여음의 반복구도 있고, 실사의 반복구도 있다아 또 여음과 실사가 합쳐져 반복구 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구음: 악기의 의성음이나 주술적인 입타령의 소리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
본론
.
조율소: 조율을 목적으로 하여 가사에 넣은 무의미한 소리 요소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순서
라 하여 여음의 정의(定義)를 그릇 설정하고 있다아 정재호 교수가 여음으로 보고 있는 ‘시의 각 연마다 실사로 된 동일한 형태의 시행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삽입되는 경우’란 반복구를 지칭함이 분명한데, 여음은 결코 실사의 반복은 아닌 것이다. 그리고 [쌍화점]에 보이는 후렴구는 여음구와 실사가 합쳐져 본사의 내용과 정서를 확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으로 보아 여음은 때로는 후렴구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실사가 합쳐져서 반복구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조흥구: 시가의 본 가사의 뒤에 붙는 무의미한 여음. 이 여음에 때로 실사가 들어있기도 함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여음의 정의(定義)는 난제이나 고려 속요를 통해 정의(定義)를 도출함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