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9 23:18
본문
Download :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hwp
◎ 주희, 유교 정통론의 관점에서 이단을 비판, 그러나 그의 평생은 도교와 깊은 관련
도교(도가) 사상의 특징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 노자 제 38장 “도가 사라진 연후에 덕이 나타나고, 덕이 사라진 연후에 인이 나오고, ... 따라서 예란 진정한 마음의 중심과 신의가 희미해진 상태요, 환란의 시작에 불과하다”는 노자의 문화론에 대한 주희의 유교적 반론 : 노자의 초타은 단지 그가 참된 도리를 살피지 못하고, 문화의 근거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두 제거하고자 한 것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 도통론, 도가적 도 개념(槪念)을 극복하여 유교적 도를 확립시키고자 하는 유학적 文化論, 신유학에 있어 리 또는 천리라는 명칭으로 더욱 폭넓게 정착
◎ 진순, 향원과 노자의 비교 질문에도 도가의 근본적 問題點으로서 그 사상의 반사회성 내지 비인륜성을 지적한 것, 유가는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며 문화적인 지향을 갖고 있음
◎ 주희의 사상은 도교의 재조직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곳에 위치하여 도교와 깊은 연관
◎ 유가와 도가의 입장, 근원적 차이의 내포 : 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
定義(정이)천, 왕안석이 말하는 도, 도가들이 제시하는 도와 다르지 않음, 언어적 방식으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있으므로 스스로 모순을 범하고 있음
Download :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hwp( 70 )
I. 주희의 도교 이해
왕안석, 원기와 충기의 통일, 무와 유의 통일, 자연과 형기의 통일이라는 관점에서 도를 파악
◎ 二정 형제, 체용론의 관점 응용 : ‘도’는 존재의 本이자 體, 경서 연구의 목적은 도의 실질을 이해하여 삶의 지표로 삼기 위함, 그들의 대도론은 유가적 성인의 도, 천리론 개념(槪念)을 구사, 재해석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 정이천의 도론, 도통론과 표리의 관계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주희가 본 노자의 이해, 비교적 편견 없이 파악 : 겸약(謙弱)을 존중하는 노자 사상 높이 평가, 靜 중심의 사유가 초래할 問題點을 인식하면서도, 그 사상에 담겨진 평화 지향, 욕망 절제, 자연 친화적 태도에는 긍정적 평가, 주희의 노자 비판은 세계관 자체라기보다는 태도가 초래할 수밖에 없는 비현실적 지향에 대한 것
.
◎ 신유학자, 경서해석학 : 훈고학적 태도, 경서에 담긴 도를 문자학 수준으로 왜소화, history적 정황으로 환원시키는 입장, 도학자들은 도를 상대적으로 만들지 않고 그 진리를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새로운 ‘경서 해석학’을 수립하고자 하였고 그러한 입장을 ‘의리론적 해석’이라고 부름, 경학의 새 시대
.
.
설명
◎ 定義(정이)천의 도=천리의 의리론적 해석 VS 왕안석의 ‘도’이해 :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 도통론의 선구자 한유를 이어 정이천 정명도 형제가 경서가 도를 싣는 것이라는 입장을 제시, 그러나 역대의 경학이 경서를 해설한 주석을 오히려 경서 그 자체보다 우위에 두는 전도된 방법론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왔다면서 전통적인 경학을 비판
◎ 주희의 불,도 비판 : 유교적 도의 상실은 china 문화의 파괴, 야만으로의 복귀, 외래 종교이자 더욱 극단적이고 나아가 china적 문화 자체를 거부하는 성격을 지닌 불교에 대해 더 높은 강도의 비판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동양중세윤리사상 - 이단 종교 비판과 유교 정체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