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9:25
본문
Download :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hwp
그 후 원문을 바탕으로 하여 어석을 풀이하고, 작품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본 후 <정석가>의 내용 분석을 통해 성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경자, 「정석가 신고」, 『어문학』75, 한국어문학회, 2002. p. 259
다.
.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Download :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hwp( 51 )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鄭石歌)>는 『악장가사(樂章歌詞)』와 『악학편고(樂學偏考)』에 전편이 수록되어 전하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와 『금합자보(琴合字譜)』에는 악보와 함께 노래 가사의 1절만이 수록되어 전한다. 또한 『익재난고(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에 결사 부분이 한역되어 있고, 『악학편고』에 고려시대의 노래로 기록한 점과 작품의 표현 기법, 내용, 운율적 정조 등이 조선의 노래와 경향이 다르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정석가>는 고려속요의 한 작품이라는 opinion(의견)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2-1. <정석가>의 소재
불가능한 일을 상정하여, ‘이 일이 일어나면 당신과 헤어지겠다’라는 역설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절대로 헤어지지 않겠다는 화자의 생각을 강하게 드러내는 <정석가>는 『악장가사(樂章歌詞)』와 『악학편고(樂學偏考)』에 전편이 수록되어 전하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와 『금합자보(琴合字譜)』에 악보와 함께 서사 부분이 실려 전한다.
설명
순서
2-1-1. 『악장가사(樂章歌詞)』
2. 작품분석





『악장가사』에서는 ‘정석가’라는 title(제목) 하에 ‘○’를 표시하여 11연으로 나누고 있다. 또한, 『익재난고(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에 결사 부분이 7언 절구의 한시로 한역되어 있다.
.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정석가 - 소재 원문해석 및 내용 구조 성격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본고에서는 먼저 <정석가>에 대한 문헌 기록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