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에 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17:04
본문
Download : 교육학에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hwp
셋째, 주제법-교육내용을 교과서나 교재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교수해야 할 특정한 주제의 모든 내용을 그 범위로 한다.
2)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교육과정이 종류가 다양하므로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캠벨(Campbell)과 캐스웰(Caswell)의 분류를 중심으로 說明(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목표(goal)법-교육목표(goal)를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分析(분석)하여 학년에 따라 단계지우고, 그에 의해 교육내용의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교과서법이나 교재법보다 改善(개선) 된 방법이다.
1) 교육내용의 선정원리
첫째, 동기유발의 원리-교육내용은 학습자의 내적 요구와 목적의식에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다섯째, 전이가능성의 원리-설정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최대한의 전이를 가능케 하는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첫째, 교과서법 및 교재법-교과서법은 국정?검인정 또는 기타 교과서를 교육내용선정이 기준으로 삼는 것이며, 교재법은 교과나 교재의 논리적 체계에 따라 교육내용을 선정한다.
교육학에 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육학에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1.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내용의 선정이란 설정된 교육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교재나 교과 또는 경험과 활동내용을 선택하여 교육내용의 범위(원어로 `scope`)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 다목적 달성의 원리-선정된 교육내용은 동시에 여러 가지 바람직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셋째, 가능성의 원리-교육내용을 통하여 학생들의 행동變化(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둘째, 기회의 원리-선정된 교육내용은 교육목적이 지시하는 바의 행동을 수행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마련해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넷째, 활동分析(분석)법-인간생활의 중요한 활동을 그 구성요소별로 分析(분석)하여 거기에 내표되어 있는 지식?기능?태도를 추출해서 이것을 교육내용으로 삼는 방…(省略)
Download : 교육학에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hwp( 87 )
순서
교육학,서,교육내용,선정,조직,사범교육,레포트
교육학에 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설명
교육학에 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 교육학에 서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서 교육내용 선정 조직
레포트/사범교육
다. 이것은 곧 무엇(what)을 교육내용으로 할것인가를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