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9 16:54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hwp
어금닛소리(牙音) - 기본자 ㄱ, 뒤 혓바닥을 여린입천장에 올려 붙이고 거기를 막아서 내는 소리(牙音ㄱ象舌根閉喉之形)
이때 혀의 모양을 직선으로 만든 것이 ㄱ이다.
해례본에서는 ㆁ과 ㅇ의 소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어금닛소리의 근본으로 삼지 않으며, ㅇ을 본따 ㆁ을 만들었으며, ㆁ의 사용례로, ‘서?, 부?’이 ‘서에, 부헝(허)’로 발음할 때 말이 통하지 않음을 근거로 들고 있따 그러나 여기에서 음이 다른 것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허웅은 해례본의 혼용례는 구차한 변명이라고 한다(唯牙之ㆁ 雖舌根閉喉聲氣出鼻 而其聲與ㅇ相似 故韻書疑與幼喩相混用 今亦取象於喉而不爲牙音制字之始).
여기에서 허웅은 서?, 부?의 발음례에서, ㅇ과 ㆁ이 전혀 다른 소리임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ㆁ을 어금닛소리의 기본으로 삼지 않았다는 것을 모순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잇소리에서 ㅿ를, 어금닛소리에서 …(생략(省略))
사회복지,초성제자원리와,중성,만드,원리,대해,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
설명
순서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 ,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 원리 대해
다.
혓소리(舌音) - 기본자 ㄴ, 혀끝을 윗잇몸에 붙여서 내는 소리(舌音ㄴ象舌附上顎之形)
입술소리(脣音) - 기본자 ㅁ, 입술이 닫힌 입의 모양을 본떠 만든 소리(脣音ㅁ象口形)
잇소리(齒音) - 기본자 ㅅ, 혀끝을 윗니 뒤쪽에 가까이 접근시켜서 내는 갈이 소리의 모양을 본뜸(해례본의 齒音ㅅ象齒形를 볼 때, 어금니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을 오해했을 가능성이 있따)
목소리(喉音) - 기본자 ㅇ, 목구멍의 둥근 모양을 본떠 만든 소리(喉音ㅇ象喉形)
여기에서 상형의 원리로 작용하는 가장 여림(最不?)는 불청불탁음이 해당된다 장애가 없는 향음(響音)이기 때문에 여리게 발음되는 것이다.
소리가 나는 위치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1.gif)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2.gif)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3.gif)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4.gif)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5.gif)
![[사회복지]%20초성제자원리와%20중성%20만드는%20원리에%20대해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B4%88%EC%84%B1%EC%A0%9C%EC%9E%90%EC%9B%90%EB%A6%AC%EC%99%80%20%EC%A4%91%EC%84%B1%20%EB%A7%8C%EB%93%9C%EB%8A%94%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B4_hwp_06.gif)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
Download : [사회복지] 초성제자원리와 중성 만드는 원리에 대해.hwp( 15 )
1. 초성을 만든 원리
1. 상형의 원리
제자의 기본 원리 - 상형(象形)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정음 28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따서 만들었다) 여기에서 象其形이라 하는 것은 소리를 만들어낼 때의 조음기관의 모습을 본뜬다는 뜻이다. 그러나 ㄱ, ㅅ은 전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