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0 06:17
본문
Download :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hwp
순서
6. 안태양, 1988, `한글 맞춤법·표준어 규정 고찰`. 「말과 글」34. 한국교열기자협회.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공통
참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Ⅱ. 본 론
1) 띄어쓰기의 원리
(1) 소리대로 적기와 원형 밝히기의 기준
3. 한글 맞춤법의 총칙과 관련한 주요 항목과 적용
2. 한글 맞춤법의 원리
[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
Ⅲ. 결 론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공통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1) 특징
(1) 어법에 맞도록이란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8. 이희승·안병희, 1994,『한글 맞춤법 강의』. 서울 : 신구文化사.
(3) 소리대로 적기와 원형 밝히기의 기준
설명
1. 김정남, 2005, 서울대학교,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해석.
1. 한글맞춤법 총칙
다.
한국맞춤법통일안차이, 한글맞춤법의 특징,, 한글 맞춤법의 구성, 한글맞춤법, 한글 맞춤법의 원리, ,
한글맞춤법이란 한국어를 한글문자 체계에 의한 어법(語法)의 규칙에 맞게 표기하는 방법으로서 국어 정서법이라고도 하나 국어정서법은 한자를 비롯한 외래 문자 체계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concept(개념)이다.
2) 받침 적기의 요령
4) 준말 적기의 방법
1)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또 `책을 집어 던지다`처럼 띄어 써야 할지 `책을 집어던지다`처럼 붙여 써야 할지도 사전이 없으면 판단키 어렵다.
2. 나찬연, 2002, 한글맞춤법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
5. 리의도, 1995, `<표준어 규정(1988)> 과 <한글 맞춤법(1988) > 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제어문학회.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제정ㆍ공표한 국어정서법 통일안이다. .이 장에서는 한글맞춤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3. 김기혁 외 4명, 2003, 우리말 알고 쓰기, 경진文化사.
2) 어법에 맞도록
7. 연규동, 1997, `한글 맞춤법을 다시 읽는다`, 한국언어학회(언어학).
위 data(자료) 요약요점 잘되어 있으니
5. 현행 한글 맞춤법을 잘 지키기 위한 나의제언
%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EC%9D%98%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0k-3687_01_.gif)
%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EC%9D%98%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0k-3687_02_.gif)
%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EC%9D%98%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0k-3687_03_.gif)
%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EC%9D%98%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0k-3687_04_.gif)
%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EC%9D%98%20%EC%9B%90%EB%A6%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0k-3687_05_.gif)
Ⅰ. 서 론
2)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예컨대 농구에서 선수가 공을 던져 바스켓 안에 집어 넣는 비율을 `슛율`이라고 적을지 `슛률`이라고 적을지 판단키 어렵다. 실제로 맞춤법에 정확히 맞게 문자 생활을 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Download : 맞춤법과표준어2공통)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연구0k.hwp( 78 )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3) 한국맞춤법통일안과 다른 점
2) 구성 및 내용
(2) 어법에 맞게 적는다는 것은 뜻을 파악하기 쉽게 적는 것
3) 사이시옷 적기 문제
10. 홍순성, 1999, `현행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問題點) 몇 가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 한글맞춤법의 특징과 구성
4. 박이정, 2001.한글맞춤법 안내, 기주연, 도서출판.
(2) 변동의 유형에 따른 기준-보편적-필연적 변동을 할 때
Ⅰ. 서 론
9. 임동훈, 1998.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 100제.
1) 소리대로 적되
3)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고 한다. 1948년 公式 적으로 채택한 뒤 한국 정서법의 법전이 되었다. 왜 우리말은 이리도 어려우냐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