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3 03:07
본문
Download : 한 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hwp
Download : 한 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hwp( 95 )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한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에 대한 입니다. 한·일히트상품과소비 , 한 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목 차>
Ⅰ. 지난 10년간 한-일 히트상품을 비교
1.한-일 히트상품의 동질화가 급진전
2.1992~2001년간 한-일 히트상품을 비교
3.한-일 히트상품을 비교, 글로벌 시장의 7대 소비트렌드를 도출
Ⅱ. 7대 글로벌 소비트렌드
1. 국경을 넘어서 동시에 히트
2. 첨단 고기능 상품들이 계속 등장
3. 상품의 소프트화, 감성화
4. 우먼파워의 증대
5. 세분화된 소비층을 타깃으로 하여 히트
6. 불황, 제도 변경 등 특수한 상황에서 히트
7. 안전, 건강, environment 지향 욕구는 불변
Ⅲ. 국내기업의 대응
1.글로벌 히트상품을 창출하여 초일류기업 대열에 합류
2.지속적 구조조정과 무형자산 확충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3.히트상품 창출 메커니즘을 기업내에 체화
4.시장 민감형 기업으로 변신
Ⅰ. 지난 10년간 한-일 히트상품을 비교
한-일 히트상품의 동질화가 급진전
□ 최근 한-일 양국의 히트상품이 비슷해지는 경향이 두드러짐
- 디지털카메라, DVD플레이어는 한국과 日本(일본)에서 동시 히트
- 文化상품에 속하는 스타벅스의 인기도 한국이 日本(일본)에 못지 않음
·유사 개념(槪念)의 커피전문점이 다수 출현하는 추세도 日本(일본)과 동일
□ 10년전만 해도 한일 양국은 소득격차, 文化적 이질성 등으로 인해 히트상품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
- 경제적, 文化적 차이 외에 상품개발력과 시장수용력에서 격차가 존재
·특히 인당소득 격차로 인해(92년 당시 日本(일본) 3만달러, 한국 7천달러) 日本(일본)에서 히트한 상품이라도 한국에서 안 팔리는 경우가 다수
한일 文化 차이가 히트상품에도 반영
日本(일본)에서는 90년대 들어 건강 지향의 우롱차가 크게 히트하여 92년에는 콜라를 제치고 음료시장 2위의 제품으로 부상(1위는 캔커피). 시장규모가 2,000억엔을 넘어서자 한국의 음료업체들도 서둘러 우롱차를 출시했음. 최소 2,000억원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展望(전망) 했지만, 결과는 2억원에 불과했고, 많은 기업이 적자로 고전. 日本(일본)에는 다도(茶道)文化가 성행한 반면 한국은 옛날에는 차를 많이 마셨지만 해방 후에 커피文化로 바뀌었기 때문
1992~2001년간 한-…(skip)
다.
순서






한 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
한·일히트상품과소비
한일 히트상품과 소비트렌드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