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2:12
본문
Download :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hwp
落陽春 步虛子 安豊曲 靖東方曲 倡義詞 鳳凰吟을 지었고, 尹淮가 致和平을 지었고,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分析(분석)
이 노래는 님에 대한 환상과 정욕의 번민에 떠는 여심을 노래하였다고 하여 <만전춘>, <쌍화점>과함께 男女相悅之詞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왔다. 그것은 병와 이형상의 다음과 같은 기록이다.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고려의 時中 蔡洪哲이 淸平樂 水龍吟 金殿樂 履霜曲 五冠山 紫霞洞지었고, 鄭敍가
.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1. 작자 및 창작시기 최정윤, 「이상곡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7
그러나 최근에 <이상곡>의 작자를 ‘채홍철’로 비정한 문헌이 紹介(소개)됨으로 해서 <이상곡>의 형성에 관한 논의는 새로운 전개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석 내용 및 구조 분석
여기에서는 <이상곡>의 해석, 내용, 구조,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
다. 그러나 현대적 안목에서 이 노래를 보는 견해는 달라야 한다.
鄭麟趾가 滿殿春 醉豊亭을 지었으니, 이것이 이른바 東方樂府이되 雅樂을 지었다고는
Download : 이상곡 - 작자 및 창작시기 원문 해.hwp( 23 )
.
<이상곡>에 관련된 문헌은 상당수 있지만 그 형성에 관해 직접적으로 밝혀 놓은 문헌은 찾아보기 힘들다. 『세종실록』과 『경국대전』에는 <이상곡>이 향악정재의 속악가사로 존재했다는 기록이 보이고, 『성종실록』에는 <이상곡>의 가사가 산개(刪改) 되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보인다. 오히려 이 노래에서 서정적 자아는 지금은 같이하고 있지 않은 님을 그리워하되, 차안적(此岸的) 삶의 고통과 고뇌를 상징적으로 노래함으로써 님에 대한 그리움을 종교적인 처지로까지 승화시키고 있따 따라서 <이상곡>은 님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을 노래한 가요 중 매우 뛰어난 작품이라 하겠다. 이 노래는 <만전춘>, <정석가>, <사모곡>, <가시리> 등과 같이 『악장가사』에만 실려 있을 뿐, 『고려사』나 다른 문헌에 그 명칭이나 내용에 대한 說明(설명) 이 없으므로 고려 속요라고 단정할 만한 근거는 없다. 그러나 형식 및 내용, 그리고 운율적 정조가 다른 고려 가요와 비슷하여 고려 속요로 간주되는 작품이다. 또한 『악장가사』,『대악후보』에 <이상곡>이 실려 있기는 하나, 가사만이 실려 있을 뿐이며, 고려속악에 관한 중요한 문헌인 『고려사』 樂志나 『악학궤범』에는 <이상곡>에 관한 기록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설명
<이상곡>은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로 일설에는 14세기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이 지은 노래라고도 한다.
순서
鄭瓜亭曲을 지었고, 翰林諸儒가 翰林別曲을 지었고, 우리 조선의 鄭道傳이 與民樂
Ⅱ. 본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 기
듣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