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7:27
본문
Download :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hwp
책 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
.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글은 처음에는 ‘훈민정음’이라고 불렀고 창제 28자는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아햇글·가갸글·국서(國書)·국문(國文)·조선글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설명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Download :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hwp( 38 )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글은 글자를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 만든 때가 분명한 글자이다.『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다. 현재 세계에는 5000여개(20세기 초에 프랑스 한림원(Academia de France) 에서는 세계의 언어를 2796개로 보고함)의 말이 있고, 이 중 100여 개 만이 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언문이라는 명칭은 세종 때부터 쓰였는데, 한글이라는 이름이 일반화하기 전까지는 그 이름이 널리 쓰였다.
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글자들도 모두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 그리고 만든 때를 모르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 한글에 마주향하여 ..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2483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8/%ED%95%9C%EA%B5%AD%EB%AC%B8%ED%99%94%EC%82%AC%20%5B%ED%9B%88%EB%AF%BC%EC%A0%95%EC%9D%8C%5D%EC%97%90%20%EB%8C%80%ED%95%98%EC%97%AC..-2483_01_.jpg)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2483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8/%ED%95%9C%EA%B5%AD%EB%AC%B8%ED%99%94%EC%82%AC%20%5B%ED%9B%88%EB%AF%BC%EC%A0%95%EC%9D%8C%5D%EC%97%90%20%EB%8C%80%ED%95%98%EC%97%AC..-2483_02_.jpg)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2483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8/%ED%95%9C%EA%B5%AD%EB%AC%B8%ED%99%94%EC%82%AC%20%5B%ED%9B%88%EB%AF%BC%EC%A0%95%EC%9D%8C%5D%EC%97%90%20%EB%8C%80%ED%95%98%EC%97%AC..-2483_03_.jpg)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2483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8/%ED%95%9C%EA%B5%AD%EB%AC%B8%ED%99%94%EC%82%AC%20%5B%ED%9B%88%EB%AF%BC%EC%A0%95%EC%9D%8C%5D%EC%97%90%20%EB%8C%80%ED%95%98%EC%97%AC..-2483_04_.jpg)
![한국문화사 [훈민정음]에 대하여..-2483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8/%ED%95%9C%EA%B5%AD%EB%AC%B8%ED%99%94%EC%82%AC%20%5B%ED%9B%88%EB%AF%BC%EC%A0%95%EC%9D%8C%5D%EC%97%90%20%EB%8C%80%ED%95%98%EC%97%AC..-2483_05_.jpg)
한국culture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조선 세종 28년인 1446년에 새로 창제 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이 한글이라는 명칭은 조선어학회(한글학회)가 주동이 되어 훈민정음 반포되는 날을 ‘가갸날’로 이름 지은 뒤, 1928년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르게 되면서부터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의식의 각성과 더불어 국문이라고 주로 부르다가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