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물리 예비/결과 전자 계측 기기와 기초 회로 theory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요약, 테브낭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8 09:35
본문
Download : exp 04.pdf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예비 report (프리 report, 예비 보고서)
1. 實驗 목표(目標)
2. 이론(理論)
3. 재료 및 장비
4. 實驗 방법 (과정)
5. 참고 문헌
결과 report (결과 보고서)
1. 實驗 결과 정리(整理) (實驗 데이터)
2. 分析(분석) 및 토의
3. 참고 문헌
1.1.1. 함수발생기의 출력 부분과 오실로스코프의 입력단자를 연결한다.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 오차가 0이라고 가정했을 때, 가 0.5 정도의 수치를 가지므로 D=1/4로 예상할 수 있다아
1.1.6. sweep은 주파수를 …(투비컨티뉴드 )
함수발생기,오실로스코프,리사쥬,중첩정리,테브낭,정리,전압,분배,휘트스톤,브릿지,최대,전력,전달,자연과학,레포트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레포트와 결과레포트를 병합하여 올립니다.
1.1.4. Vpp/2를 a라고 했을 때 RMS는
1.1.4.1. sine(정현파):
1.1.4.2. square(구형파): /2
1.1.4.3. Ramp(삼각파):
1.1.4.4. Pulse(펄스, 범위가 0~a): 이때 D는 높은 신호의 비율(0~1값)
1.1.5. 펄스 함수는 모두 같은 함수가 아니라 높은 신호의 비율이 다를 수 있다아 이를 모르고 實驗하여 그 비율을 기록해 오지 못했다. 함수발생기에서 만든 波動(파동)을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分析(분석)했다. 만약 함수발생기를 High-Z모드로 설정하면 알아서 이를 보정해 주므로 설정한 전압만큼 오실로스코프에도 출력된다
1.1.3. 정현파와 구형파가 동일한 것 인줄 알고 實驗을 일부 잘못했다.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과목 A+를 받았습니다. , 실험물리 예비/결과 전자 계측 기기와 기초 회로 이론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정리, 테브낭 정리, 전압 분배, 휘트스톤 브릿지, 최대 전력 전달)자연과학레포트 ,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정리 테브낭 정리 전압 분배 휘트스톤 브릿지 최대 전력 전달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순서
결과보고서는 제가 실험한 데이터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정현파가 두 번 측정(measurement)되었다.
Download : exp 04.pdf( 53 )
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레포트(report) 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아래 (4)의 계산과 실제 측정(measurement)된 V_rms는 매우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직렬회로이므로 load에 특정 전압을 걸어주려면 그 전압의 두 배를 출력해주어야 내부 저항 50Ω과 load 저항 50Ω이 1:1로 전압이 걸려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험물리 예비/결과 전자 계측 기기와 기초 회로 theory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요약, 테브낭 요약, 전압 분배, 휘트스톤 브릿지, 최대 전력 전달)
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함수발생기의 출력 설정에서 load impedance가 50Ω이라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처럼 load impedance를 50Ω으로 예상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load impedance는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저항 1MΩ으로 50Ω에 비해 매우 크다.
1.1.2. 함수발생기에서 peak-to-peak이 5V인 波動(파동)을 보냈지만 오실로스코프에서는 10.2V로 감지하였다.본문 내용을 많이 입력하고 싶지만 레포트에 수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옮기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즉 약 2배의 전압이 측정(measurement)되었다. 또한 실험의 내용은 담당 조교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의 거의 전부가 load에 걸리게 되어 두 배가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파일 안에는 완벽한 수식처리가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theory 적인 값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오차에 대한 analysis(분석)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함수발생기의 내부 임피던스는 50Ω인데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은 1MΩ으로 매우 크다.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실험물리학1의 실험 예비레포트(report) 와 결과레포트(report) 를 병합하여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