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13:57
본문
Download : 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hwp
(2) 내 아들 소식 -손로현 작사/손목인 작곡/권정애 노래 3:05
내 아들의 소식듣고 찾아온 천리
양지 쪽의 무궁화는 만발했구나
내 아들의 무덤에도 무궁화 꽃을
한아름 꺾어다가 한 아름 꺾어다가
올려나 주마
내 아들아 잘자거라 무명 용사야
너도 없는 고향 천리 누구를 찾나
내 아들아 복바치는 울음 소리는
용사의 어머니된 용사의 어머니된
기쁨이란다
위 노래의 가사는 6.25를 그려내는 가장 전형적인 것으로서 전쟁에서 희생된 아들에 대한 슬픔을 절제하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절제는 아들의 죽음이 나라에 대한 충성이라는 이유로 기쁨으로까지 승화되어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아들을 잃은 슬픔이 기쁠 수 있을까. ‘복바치는 울음소리는 용사의 어머니된 기쁨이란다’ 라는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사의 내용을 음미하다보면 매우 슬프다. 충성이라는 이유로 아들의 …(생략(省略))






대중가요속의6.25한국전쟁
순서
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
Download : 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hwp( 42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대중가요속의6.25한국전쟁 , 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 론
1. 연구대상과 연구目標(목표) : 한국전쟁의 기록, 대중가요
2.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Ⅱ. 본 론
1. 전근대적 충정과 그리움의 갈등
(1) 들어가며
(2) 내 아들 소식 -손로현 작사/손목인 작곡/권정애 노래 3:05
(3) 아내의 노래 -유호 작사/손목인 작곡/심연옥 노래 3:10
(4) 일선의 오빠 -최치수 작사/김성근 작곡/차은희 노래 2:53
(5) 전선야곡 -유호 작사/박시춘 작사/신세영 노래 3:25
(6) 전선 소야곡(戰線小夜曲) -호동아 작사/손목인 작곡 3:00
(7) 휴전선 엘레지 고명기 작사/박시춘 작곡/남인수 노래 3:28
(8) 소conclusion
2. 전쟁과 분단에 대한 비판
(1) 들어가며
(2) 달도 하나 해도 하나 -김건 작사/이봉룡 작곡/남인수 노래 3:08
(3) 남북통일 류노완 작사/이재헌 작곡/박재홍 노래 3:31
(4) 가거라 삼팔선 -이부풍 작사/박시춘 작곡/남인수 노래 3:05
(5) 소conclusion
3. 생 이별의 한
(1) 들어가며
(2) 단장의 미아리 고개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이해연 노래
(3) 그리움은 가슴마다 -최금동 작사/박시춘 작곡/백설희 노래
(4) 꿈 속의 어머니 -강남풍 작사/김 광 작곡/황금심 노래
(5) 추풍령 자장가 -김운하 작사/전오승 작곡/원방현 노래
(6) 사랑의 길 신면우 작사/이재호 작곡/권혜경 노래 2:58
(7) 꿈길타고 내가 왔소 -차경철 작사/한복남 작곡/남신 노래 3:09
(8) 소conclusion
4. 고향에 대한 그리움
(1) 들어가며
(2) 향수 -김문응 작사/박시춘 작곡/남인수 노래
(3) 꿈에 본 내고향 -박두환 작사/김기태 작곡/한정무 노래 3:26
(4) 꿈에 본 대동강 호심 작사/전오승 작곡/박재홍 노래 3:18
(5) 한많은 대동강 -야인초 작사/한복남 작곡/손인호 노래 3:09
(6) 소conclusion
(5) 이별의 부산정거장 -호동아 작사/ 박시춘 작곡/남인수 노래 3:29
(6) 경상도 아가씨 -손로원 작사/이재호 작곡/박재홍 노래 3:25
5. 미국의 influence(영향)
(1) 들어가며
(2) 워싱턴 블루스 -손로원 작사/나화랑 작곡/이미자 노래 3:17
(3) 내 고향으로 마차는 간다 -류노완 작사/전오승 작곡/명국환
노래
(4) 럭키 서울 -유호 작사/박시춘 작곡/현 인 노래
(5) 파리쟌느 -이철수 작사/이시우 작곡/현 인 노래
(6) 승리(勝利)부기 -유 호 작사/박시춘 작곡/신카나리아 노래
(7) 소conclusion
Ⅲ. 결 론
1. 대중가요 속의 6.25 한국전쟁
2. 대중culture와 개인의 역할
3. 바람직한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
% 참 고 %. 본격적인 대중가요의 요람: SP음반
1. 전근대적 충정과 그리움의 갈등
(1) 들어가며
한국전쟁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지만 당대인들에게 그 결과는 현실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설정은 일반적인 것이지만, 음악 속에서 각각 특정한 화자의 시각에 따라서 변주되고 있는데 그 모습을 따라가다 보면 전쟁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 간의 관계와 더불어 그 관계가 함축하는 전쟁의 함의에 관련되어 설명(說明)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피해에 대해 대중들은 누군가에게 책임을 전가하고자 하고, 그러한 피해의식은 북한에 대한 매도에서 처음 된다 즉, 50년대를 둘러싼 대중가요 가운데 첫째로 분단질서 하에서 조국에 대한 충성과 북한에 대한 적개심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작품유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선악구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을 대립시킴으로써 같은 민족인 북한을 매도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방적인 매도 속에 사람들은 전근대적인 충정을 결부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전쟁의 고통과 자신의 희생을 정당화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