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 field7 | field.co.kr report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 field7

본문 바로가기

field7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6 22:17

본문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1658년부터, 영국에서는 1677년부터 관측하였다. 즉, 대(臺)를 관상감에 만들어서 측우기를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도록 하는데,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보고한다. 한국에서는 이미 1442년 5월부터 측우기로 우량을 측정(測定) 하였으며, 이것은 이탈리아보다도 약 200년이 빠르다.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1.gif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2.gif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3.gif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4.gif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5.gif 한국의%20전통교육%20-%20한국의%20전통%20문화유산_hwp_06.gif



Ⅰ.측 우 기
1. 요 약
2. 측우기란?
3. 만들어낸 이유
4. 다른 나라와 다른점
5. 측우기의 과학적인 점

Ⅱ. 자 격 루
1.요 약
2. 자격루란?
3. 물시계 부분
4. 자동시보장치

Ⅲ. 칠 정 산
1. 요 약
2. 칠정산이란
3. 칠정산의 구성
4. 칠정산이 가지는 의의

Ⅳ. 거 중 기
1. 요 약
2. 거중기란?
3. 606 거중기의 설계도
4. 정약용과 거중기
5. 화성

Ⅴ. 혼 천 의
1. 요 약:
2. 혼천의란?
3. 과학文化(culture) 재 혼천의

Ⅵ. 훈 민 정 음
1. 요 약
2. 훈민정음이란?
3. 훈민정음 창제과정
4. 훈민정음 창제원리
5. 훈민정음 풀이

Ⅶ. 옥 루
1. 요 약:
2. 옥루란 무엇인가?

Ⅷ. 거 북 선
1. 요 약
2. 거북선의 연혁
3. 거북선의 형태와 구조
4. 거북선의 성능

Ⅸ. 앙부일구(仰釜日晷)
1. 앙부일구란?
2.쓰 임 새
3. 구 조
4. 휴대용 앙부일구
5. 앙부일구의 과학적 우수성

Ⅹ. 간의[簡儀]
1. 요 약
2. 간의란?
3. 간의대
4. 소간의

Ⅺ. 규 표
1.요 약
2. 규표란?
3. 규표의 구조

Ⅰ.측 우 기
1. 요 약
: 조선 세종 이후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測定) 하기 위하여 쓰인 기구.
2. 측우기란?
1441년(세종 23) 8월에 예조(禮曹)가 측우기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여, 다음해 5월에는 측우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서울과 각 도(道)의 군현(郡縣)에 설치하였다. 그런데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 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다아 측우기는 안지름이 주척(周尺)으로 7치(14.7 cm),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밖에 세워 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다아 측우기에 괸 물의 깊이는 자[尺]로 측정(測定) 한다. 조선 세종 때의 측우기가 과학사상 뜻깊은 것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쓰였다는 사실이다. 주척은 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처음에 철로 만들었으나, 뒤에 구리로 만들어 쓰기도 하였고, 지방에서는 자기(瓷器) ·와기(瓦器) 등을 쓰기도 하였다.


한국의전통교육완성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하였다. 유럽에서는 1639년 로마에서 이탈리아의 B.가스텔리가 처음으로 측우기로 강우량을 관측하였다고 한다.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한국의전통교육완성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50 )


,인문사회,레포트
다.
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 금영측우기는 1837년(헌종 3)에 만든 것으로 보물 제561호로 지정되어 기상청에 소장되어 있다아
3. 만들어낸 이유
<삼국사기> …(drop)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field.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