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6 03:37
본문
Download :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hwp
(1) 퇴계 이황의 사상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호는 퇴계.
▶ 사회적 부조리와 무질서한 상황의 전개는 개인이나 집단이 공의와 사리의
분별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데서 기인.
▶ 공리와 사리를 엄격히 구별, 천리와 인욕의 엄격한 분별을 뜻하는 것 주장.
▶ 정치 현실에서 떠나 학문을 닦음으로써 ‘입언수후’ 하여 도를 전해주는 것.
▶ 경 공부를 통해 존양과 성찰을 지속, 성과 정을 다스리는 심의 기능이 성인의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다고 봄.
▶ 경의 상태는 노력으로 유지, 이 상태가 성격화될 때 성인의 인격 형성
▶ 현대 심리치료 관념으로 바꾸어 보면 자기통찰의 자각 상태를 통해 자기 자리
를 지키는 것.
▶ 인간 본성의 회복가능성은 인성에 희.노.애.락.애.오.욕이라는 칠정 이외에
본성의 단서가 되는 사단, 즉 측은지심.…(생략(省略))
정신건강개론,자기발견과,적응,과,성리학적,접근,퇴계이황,율곡,사상,인문사회,레포트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순서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Download :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hwp( 86 )
레포트/인문사회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1.gif)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2.gif)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3.gif)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4.gif)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5.gif)
%20%EC%A1%B0%EC%82%AC%EB%B6%84%EC%84%9D_hwp_06.gif)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정신건강개론 자기발견과 적응 과 성리학적 접근 퇴계이황 율곡 사상
다.
설명
Report
(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適應 analysis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analysis )
목 차
제 1 장 정신건강 개론
제 2 장 자기발견과 適應
제 1 장 정신건강 개론
1. 윤리 도덕적 theory : 성리학적 접근
▶ 성리학 : 11, 12세기 china(중국) 에서 발달된 유교 철학, 우리나라 고려말에 도입,
조선 500년 통치이념
윤리도덕적 측면의 가치 추구 theory 인 한국 성리학을 16세기 독자적 theory 으로 창출시킨 퇴계와 율곡의 theory 을 중심으로 다루어 보고자 함은 선조들이 추구한 윤리사상과 도덕적 가치 추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임하는 삶의 자세 중 윤리*도덕적 측면에 관해 자성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우리 모두가 보다 통합적이면서 평형감 있는 인간 본연의 건강하고 성숙한 인격을 되갖추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