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현대사회와 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09:05
본문
Download : 현대사회와 윤리.hwp
무언가를 얻기 위해 행위를 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 행위가 바람직하다는 말이다. 즉 행위자가 어떤 행동의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에 정당한 행동이란 행위가 자신뿐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든 그 행동의 effect을 받는 사람들 모두를 위해서 최대의 행복을 산출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와 윤리
공리주의란, 기본적으로 자본주의를 옹호하면서 거기에 수정을 가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된다. 즉, 행위에는 그 동기와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 행위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순서
현대사회와 윤리
◎ 밀의 공리주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현대사회와 윤리.hwp( 65 )
현대사회와 윤리
또한, 행위 공리주의에서는 여러 대안적 행위들 가운데서 관련된 모든 이에게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가 옳은 행위라고 주장한다. 언제 어디서나 지켜야 할 행위의 근본원칙에 주목하고, 의로운 삶. 합리적 이성에 대한 신뢰. 공정한 절차, 정당한 원칙을 중시하는 theory(이론)이다.




: 구체적이고 특수한 행위가 산출하는 유용성을 중시하는 입장
현대사회와 윤리
- 기본 원리 : 하나의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거나 그르며, 책임 있는 상태를
현대사회와 윤리
.
다. 그는 매 행위의 쾌락, 고통 증가율을 측정(measurement)해서 윤리적 평가를 내릴 것을 주장한다. 공리주의는 사상적으로는 칸트의 의무론을 비판하고, 목적론, 결과론을 내세운다.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유용성을 중시하는 입장.
→ ‘칸트의 의무론’
※ 참고 - 공리주의란?
.
현대사회와 윤리
(↔ 규칙 공리주의 : 어떤 행위지침을 모든 사람이 받아들여 준수할 경우의
현대사회와 윤리
설명
“공리주의자적 생각”
어떤 종류의 행동이 언제나 어떤 종류의 environment에서 그 행동의 결과와 상관없이 옳거나 혹은 그르다고 주장하는 theory(이론)이다. 즉, 좋음이 옮음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벤담은 행위공리주의를 내세웠다.
현대사회와 윤리
행위의 도덕적 상태가 행위가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인 행복의 총량에 의해서 결정된다된다.
행위공리주의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행위의 결과를 통해 행위를 평가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