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과 조선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7:04
본문
Download : 성리학과 조선 사회.hwp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설명
를 올리며 사림파로 등장한 남효온 등이 한명회 등 찬탈세력과 대립
두문동은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있던 옛 지명으로, 칠십이현이 모두 이곳에 들어와 마을의 동·서쪽에 모두 문을 세우고는 빗장을 걸어놓고 밖으로 나가지 않은 것에서 기원되었다고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왜란 당시 조헌, 김천일, 고경명 등 사림들은 의병을 일으킴
-태종 ; 정몽주를 영의정으로 추증하면서 두문동 72현 세력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을 이르는 말.
조선은 성리학을 국시로 건국되었고, 따라서 조선왕조의 정치, 경제, 사회, 文化(culture) 는 성리학 이념에 따른 변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왕실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도덕성이 추락시킨 세조 치세의 최대 약점으로서, 그동안 누구라도 말하지 못하였던 금기사항을 건드린 것이다.
-광해군 ; 폐모론이 일어나자 사림들은 인조반정을 하여 삼강을 바로 세움 -> 북인 퇴출
2. 정치와 경제
-중종 ; 중종반정이 일어나며 기호사림파가 등장하여 소릉을 복위시키고 정몽주를 문묘종사하였음
성리학과 조선 사회
-> 김
-인조 ; 대동법을 주장하며 새로이 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를 건설하려던 사림들은 병자호란 때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면서 심각한 내부 갈등에 직면





.
성리학과 조선 사회
중종 후반 김안국, 백인걸, 이언적 등 사림 대거 등장, 백운동서원 건립하며 사림기반 마련
성리학과 조선 사회
이들이 소학계를 조직하며 김굉필, 정여창 등 영남사림파라고 불린 세력으로 등장
다.
.
-명종 ; 을사사화 이후 사림들은 심성논쟁을 일으켜 성리학 이해 심화, 서원 건립 통해 세력 확장
Download : 성리학과 조선 사회.hwp( 35 )
기호사림파는 조광조, 김식 등 기묘명현 배출
.
1) 정치세력-사림
등장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들과 그 후손들을 정계에 등장시킴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세종 ; 집현전을 세워 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문물제도 정비 -> 세조찬탈로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1982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김문기 현창)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붕당정치론에 입각한 성리학 긍정론과 조선긍정론이 대두되면서 화理論(이론)에 입각한 사대주의론은 조선중화론에 입각한 조선제일주의로 바뀌었다. 재야에서 처음 한 기억운동은 점차 조정을 무대로 전개되었다. 또한 조선전기는 주자성리학, 조선후기는 心학화된 조선성리학으로 변화되었다고 인식되었다. 이렇듯 사림파는 비판언론의 활성화 이전에 기억운동을 통하여 존재를 드러냈다. 대표적으로 김일손(金馹孫)의 사초가 압권이었고, 이로서 무오사화가 발단되었다.(세자빈 시절 단종을 낳고 문종이 즉위 이전에 세상을 떠난 그녀의 능침이 소릉(昭陵)이기 때문에 소릉복위상소라고 한다. 이후 남효온은 「육신전」을 통하여 사육신 충신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 생육신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성리학과 조선 사회
순서
-연산군 ; 김일손의 조의제문 사건으로 무오, 갑자사화 일어남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선조 ; 사림정치 통해 동서 분당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선긍정론, 성리학긍정론의 시각에서 조선시대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억압당하고 부정되었던 소수의 사적 기억을 사초를 통하여 formula화 국가화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종 ; 소릉복위 상소 성종 9년(1478) 4월 남효온이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복위를 주장하였다. history(역사) 의 상흔을 치유하자는 history(역사) 투쟁과 기억운동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이미 왕이 아닌 노산군의 생모라는 이유로 종묘에서 신주가 철거되고 문종의 능침에 묻힌 관곽(棺槨)이 파헤쳐진 사건을 거론한 것이다.
그러나 식민지사관은 조선 망국의 책임을 조선왕조의 당쟁론과 사대주의론에 입각한 유교망국론, 조선부정론으로 설명(explanation)하였고, 광복 후에는 조선사회를 민중을 농노처럼 지배하던 사회로 설명(explanation)하여 성리학을 봉건지배층의 지배이데올로기, 즉 봉건사상으로 이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