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구조설계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2 08:46
본문
Download : 내진구조설계기준.hwp
또, 당해 지반에서 지진동 그 자체의 크기를 정확히 평가하기란 또한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다아
그러나 안전한 구조, 안전확보에 대한 기준은 구조물의 용도, 구조종별과 중요도 등에 따라 그 한계를 결정해야 할 것이며, 일반적으로 당해지반의 빈도가 극히 낮은 가상 최대지진에 대하여는 붕괴하지는 않고 국부적인 피해는 다소 감수하는 내진 설계를 실시하여 인명과 재산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조물의 내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목표(goal)는 지진에 대한 인명의 안전확보와 건물의 피해가 없도록 하는데 있다아 때에 따라서는 건물의 용도와 중요성에 따라 구조물의 안전성을 제일로 보고, 가상 최대지진에 대해 전혀 피해가 없도록 설계하는 경우도 있다아 그러나 100년에 대해 발생 가능성이 90%를 초과하는 지진에 대하여도 절대적으로도 손상이 없는 건축물을 건조함이란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2. definition 및 기호
3. 내진구조설계 절차
내진구조 설계해석의 경향은 중층정도, 정형구조물에 대해 동력학적 연구의 성과와 工學적 안정성을 고려한 등가정적 횡력해석법이나, 건물의 규모…(To be continued )
Download : 내진구조설계기준.hwp( 44 )
다.
이러한 목표(goal)하에 지진에 대해 안전한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이 내진구조설계 기준의 기본이념이다.






내진구조설계기준
설명
내진구조설계기준
내진구조설계기준 , 내진구조설계기준공학기술레포트 , 내진구조설계기준
내진구조설계기준,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내진구조 설계기준
등가정적 횡력해석
1. 내진구조 설계의 목표(goal) 및 기본이념
내진연구 제 1 분과에서 우리나라의 지진현상을 연구analysis한 지진발생 동향과 지진위험도에 의하면 40-120gal 인 지진가속도 지역이 상당한 광역임을 알 수 있다아
환태평양지역 및 지진다발지역의 국가에서는 진도 MM〓Ⅴ~Ⅶ 이상에 적용할 수 있는 내진규정에 의한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아 또한 풍하중에는 안전하더라도 지진하중은 구조물의 지진응답property(특성)과 지반property(특성)에 따라 구조물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은 크므로 구조물에 큰 피해를 낼 수가 있다아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적절한 내진설계를 적용하므로써 예기치 못하는 지진의 피해에 대비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