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工學(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06 21:16본문
Download : 전자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hwp
순서
전자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 , 전자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공학기술레포트 , 전자공학 디지털시계 설계 제작
설명
전자工學(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
전자工學(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전자공학 - 디지털시계 설계 및 제작.hwp( 64 )
1. 목적 및 동기
각종 소자를 이용하여 디지털 시계를 만들며 이번 학기동안 배워왔던 소자들의 property(특성)과 디지털 시스템 관련 理論을 적용시켜보고 회로구성의 용이성과 범용성 등의 advantage(장점) 과 외부環境(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마주향하여 경험해 볼 수 있다
2. 수행내용
1) 클럭 발생
- NE555와 2.2uF, 470kΩ, 270kΩ을 이용하여 1Hz의 클럭 발생
2) 초 기능
- 7490의 출력을 받아 Counting.
- 6진 카운트와 10진 카운트를 합하여 60진 카운트를 형성.
3) 분 기능
- 앞에서의 초의 출력을 받아서 counting 됨.
- 10진, 6진 두 개를 합하여 60진 카운트를 형성.
4) 시 기능
- 24시간으로 함.
- 0~23시 까지 올라가며 23시가 되는 순간 7490왼쪽의 9번, 8 번 단자와 오른쪽 7490의 12번 단자가 두개의 7490 ic의 리셋과 연결이 되어 7490 두개의 상태는 `00`이 됨. 7490의 ...
1. 목적 및 동기
각종 소자를 이용하여 디지털 시계를 만들며 이번 학기동안 배워왔던 소자들의 property(특성)과 디지털 시스템 관련 理論을 적용시켜보고 회로구성의 용이성과 범용성 등의 advantage(장점) 과 외부環境(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마주향하여 경험해 볼 수 있다
2. 수행내용
1) 클럭 발생
- NE555와 2.2uF, 470kΩ, 270kΩ을 이용하여 1Hz의 클럭 발생
2) 초 기능
- 7490의 출력을 받아 Counting.
- 6진 카운트와 10진 카운트를 합하여 60진 카운트를 형성.
3) 분 기능
- 앞에서의 초의 출력을 받아서 counting 됨.
- 10진, 6진 두 개를 합하여 60진 카운트를 형성.
4) 시 기능
- 24시간으로 함.
- 0~23시 까지 올라가며 23시가 되는 순간 7490왼쪽의 9번, 8 번 단자와 오른쪽 7490의 12번 단자가 두개의 7490 ic의 리셋과 연결이 되어 7490 두개의 상태는 `00`이 됨. 7490의 모든 신호가 `00`일 때는 병렬
5) 요일 기능
- 7490을 이용하여 0~6까지의 숫자로 7445와 저항을 이용한 LED가 아닌 7-세그먼트로 표시하였다.
6) 시간 맞춤 기능
- 7486소자와 7404소자를 이용하여 클럭 발생기로부터 2Hz의 클럭을 받아 버튼을 누를 때 마다 시간과 분이 오르게 함.
7) 리셋 기능
- Reset을 위해 7404를 사용.
- 스위치를 누르면 초 단위가 `00`이 나타나며 다시 1초부터 카운트 됨.
3. 수행결과
1) 클럭발생
- NE555와 2.2uF, 270kΩ, 470kΩ을 이용하여 정확히 1Hz를 얻어냄.
이후 시간맞춤기능을 위해 똑같은 회로에 저항을 82kΩ, 270kΩ을 이용하여 2Hz의 클럭을 구함.
2) 시, 분, 초 기능
- 6진, 10진, 24진 카운터를 이용하여 시, 분, 초를 정확히 표시시킴.
3) 요일 기능
- 7490과 7411을 이용하여 24진 카운터에서 온 신호를 7…(생략(省略))
전자공학,디지털시계,설계,제작,공학기술,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