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한민족의기원 > field2 | field.co.kr report

한민족의기원 > field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2

한민족의기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7 22:24

본문




Download : 한민족의기원.hwp




담은 돌덩이로 쌓았다. 성성초의 토기형제는 초기의 특징을 가졌고 유물종류도 서
단산과 기복적으로 같다. 부관을 발견하지 못하였는데 서단산 文化(문화) 고
분은 처음에는 부관이 없다가 나중에 부관이 있는 것으로 발전하고 마지막에는 부관이 없
어졌다. 무덤은 4구역으로 나누어졌고, 판석을 세워만
든 무덤이 돌덩이를 쌓아 만든 것보다 많다. 지금까지 확인된 길림지구 서단산 문
화유적(거주지·무덤·유물산포지 포함)은 모두 112곳이다.
2) 길림지구 서단산 文化(문화)유적의 발전서열과 분기
유물유형, 주거지와 구분결구의 차이 그리고 C14의 결과 등을 근거해서 서단산 文化(문화)를 전
기·중기·후기 등 3기로 나누고 있따
서단산 토기는 비교적 단순하고 초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따 주거지는 반수혈 주거지로 노
지가 있었다. 주거지는 모두 반수혈식이고, 파괴되었으나 잔존담이 아직 남아
있따 성성초의 주거지에도 노지가 있었다. 청동무기는 동검과 표주박형 창이 남
아있따 주거지는 기복적으로 규칙적이며 정형된 반수혈식이다. 화
덕이 있는데 불씨를 보존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따 토성자의 토기종류는 중기유적보
다 증가되었으나 여전히 작은 것들은 일치한다. 서단산의 석관묘결구를 보면 판석을 세운 것과 돌덩이를 쌓은 무덤의 수량이
거의 같고 부관이 상당히 많다. 후석산의 토기 형제는 중기의 특징을 가졌다.,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한민족의기원 , 한민족의기원인문사회레포트 ,
한민족의기원




(1) 서단산 文化(문화)론
1946년 동북고고발굴단은「길림서단산석관묘발굴보고」에서 서단산 유적 내에 포함된 같
은 文化(문화)유적은 이름을 `서단산 文化(문화)`로 부르자는 건의를 하였고, 그 제의는 그 이후부터 오
늘날까지 고고학계와 역싸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있따
1) 길림 서단산 文化(문화)유적의 분포와 발굴
송화강 양쪽에 특히 길림시 부근과 영길현 경내의 강 양쪽 언덕에 해발 200~360m 사이
의 낮은 구릉산과 부근 수면에서 3~10m의 낮은 언덕사이에 다량의 서단산 文化(문화)유적이 분
포되어 있따 그곳의 유적들은 주거지와 무덤들이다.…(省略)



Download : 한민족의기원.hwp( 97 )





한민족의기원



레포트/인문사회




한민족의기원_hwp_01.gif 한민족의기원_hwp_02.gif 한민족의기원_hwp_03.gif 한민족의기원_hwp_04.gif 한민족의기원_hwp_05.gif 한민족의기원_hwp_06.gif
다.
전체 18,44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