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식의 현상학 > field2 | field.co.kr report

식의 현상학 > field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2

식의 현상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6 21:49

본문




Download : 식의 현상학.hwp




유식론은 식의 전변에 의해 일그러지기 이전의 진여의 얼굴을 회복하려는 자기해탈을 목적으로 삼는 데 반해, 현상학은 선험적 자아에 의한 세계구성이라는 표제하에서 선험적 자아의 절대성을 강조함으로써 이 자아 역시 묘유에 지나지 않음을 파악하지 못하는 자기집착의 길을 간다.

이와같은 형식적 대비는 후설에 대한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어슬프고 강압적인 짝지움에 지나지 않는다. . 현상학적 구성은 잠재되어 있는 지평에 …(투비컨티뉴드 )
식의 현상학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식의 현상학.hwp( 13 )


우리가 현상학과 유식이론을 대비시킬 때 항상 부딪치게 되는 문제는 유식론은 아집으로부터의 해방인 반면에, 현상학은 의식을 세계구성의 절대적 단초... , 식의 현상학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후설에 있어서 `구성`이란 주관에 의한 대상산출이라는 칸트적 구성이 아닐것이다. 말하자면 후설의 선험적 환원은 자아에 대한 집착을 위한 방편일 뿐이라는 해석이 통상적이다. 이것은 다음의 사실에서 확인될 수 있다 먼저 선험적 자아에 의한 생활세계의 구성이라는 현상학의 근본착상은 근대적 사유, 즉 아집과 법집에 묶여 있어서 근원적인 알라야식을 읽지 못하는 주관주의의 산물이다는 해석은 후설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식의%20현상학_hwp_01.gif 식의%20현상학_hwp_02.gif 식의%20현상학_hwp_03.gif 식의%20현상학_hwp_04.gif 식의%20현상학_hwp_05.gif 식의%20현상학_hwp_06.gif
우리가 현상학과 유식이론을 대비시킬 때 항상 부딪치게 되는 문제는 유식론은 아집으로부터의 해방인 반면에, 현상학은 의식을 세계구성의 절대적 단초...



레포트/인문사회


우리가 현상학과 유식theory(이론)을 대비시킬 때 항상 부딪치게 되는 문제는 유식론은 아집으로부터의 해방인 반면에, 현상학은 의식을 세계구성의 절대적 단초로 우위에 두는 일종의 아집의 이데올로기가 지배한다는 사실이다.
전체 18,44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