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다산의 경학사상 > field2 | field.co.kr report

다산의 경학사상 > field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2

다산의 경학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09:45

본문




Download : 다산의 경학사상.hwp




사람도 그 깊은 내심에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 사람에게는 기질의 욕망위에 도의를 지향하는 마음이 있다아 “따라서 사람의 성을 논할 때는 도의를 위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육체적 기호로서 이는 절제해야 될 것이지만 영지의 기호는 천명지성으로서 이는 요선이치오하는 인간의 본심인 것이다.
다산은 “성이란 본심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다. 사람은 확실히 기질의 욕망이 있으며 그것은 또한 선천적이다. “성이란 기호인데 형구의 기호가 있고 영지의 기호가 있는데 다같이 이를 성이라 한다. ...보충하기를 덕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럽게 여기는 성은 성인이나 범인이나 다 같은 것이다.
인간에게는 의라고 표현된 도덕이 있고 이 근저에 놓인 것이 대체의 기호이며 이것이 바로 인성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은 영지의 기호를 …(투비컨티뉴드 )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1.gif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2.gif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3.gif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4.gif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5.gif 다산의%20경학사상_hwp_06.gif
다산의경학사상
다산의 경학사상



순서

다.” 성이란 본심 그 자체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마음에 있어서 좋아하고 싫어함이란 다름이 아니라 곧 요선이오악하고 호덕이취오함을 말한다.

다산의경학사상 , 다산의 경학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다산의 경학사상.hwp( 24 )



설명






심은 “대체의 천명”이며 성은 “그 대체의 좋아하고 싶어하는 이치”를 들어서 말해진 것이다.”
결과적으로, 다산은 인간을 동물에서 구별 짓는 것은 오직 그가 도덕적 존재임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 근저에 놓인 대체의 기호만을 인성이라고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성의 기호는 곧 선을 의미하였고 논리적 당위를 추구하는 존재이었다.
전체 18,44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