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program]) 개발과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05:29본문
Download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ppt
설명






Download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ppt( 12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인문사회레포트 , 국제결혼 이주여성 부적응과 가정폭력 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
순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program]) 개발과평가
레포트/인문사회
국제결혼,이주여성,부적응과,가정폭력,대한프로그램개발과평가,인문사회,레포트
호로그램 개발과 평가
?☆선 정 이 유☆
최근 들어 한국 남성과의 결혼을 목적으로 들어오는 제 3세계 여성(베트남 필리핀등..)들이 증가함에따라 우리나라 국제 결혼이 증가 하고있다 하지만 이들은 한국에서의 생활경험도 없는데 다가 올해 와서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쟁점화 되기 처음 했기 때문에 그 보호 부분에 있어 사실 많이 미비한 상태이다.
☆가정폭력 상황☆
◈ 일주일에 한 두 order (차례) 갈등을 겪는 부부는 8%, 거의 부부싸움이 없는 경우는 41% 정도임. 부부싸움의 가장 큰 原因은 남편과 성격 차이(33.4%), 생활방식 차이(22%), 경제문제(12%), 음주(11%)를 지적
◈ 응답자 중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해본 적이 있다는 사람은 34%이며, 이혼하지 못하는 이유로 자녀문제, 체류자격 유지 문제 등을 지적
◈ 부부불화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로 상담하는 사람으로 모국친구(30%), 응답자의 가족이나 친척(19%)인 것으로 나타남, 상담하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사람도 15%정도 됨. 특히 이혼자의 경우 부부불화로 어려웠을 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전혀 없었다는 사람이 40%나 됨
◈ 가정폭력을 보면, 지난 1년 동안 언어폭력 경험자가 31%, 신체적 폭력은 10~14%임, 현재 별거나 이혼을 한 사람들 중 부부폭력 경험률이 높은데, 언어폭력은 70~80%, 신체적 폭력은 50%, 남편으로부터 성행위 강요는 40% 이상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 가정폭력으로 경찰에 신고한 사람은 10%정도로 낮으며, 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 결혼생활 유지를 위해(20%), 신고할 줄 몰라서(14%), 경찰 문제해…(투비컨티뉴드 )
다.
?
.
그래서 우리조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많은 어려움 및 問題點 중에 가정폭력에 대하여 포커스를 맞추어 조사 및 호로그램을 처음 하려고 한다. 때문에 이러한 이주여성의 reality(실태) 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問題點과 그에 따른 해결대책을 찾아 이들의 한국 사회 適應을 돕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적응과 가정폭력의 대한프로그램(program]) 개발과평가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