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한일개국조약의 비교 > field3 | field.co.kr report

한일개국조약의 비교 > field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3

한일개국조약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9 04:49

본문




Download : 한일개국조약의 비교.hwp








,경영경제,레포트

Ⅳ. 외부로부터의 압력



Ⅳ. 외부로부터의 압력한국과 일본이 외부로부터 받은 압력이 같았는가 달랐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여기서는 개국조약이라는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 , 한일개국조약의 비교경영경제레포트 ,

한일개국조약의 비교

Download : 한일개국조약의 비교.hwp( 52 )




레포트/경영경제

한국과 일본이 외부로부터 받은 압력이 같았는가 달랐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여기서는 개국조약이라는 資料를 중심으로 살펴...
순서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1.gif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2.gif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3.gif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4.gif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5.gif 한일개국조약의%20비교_hwp_06.gif



Ⅳ. 외부로부터의 압력

한국과 日本 이 외부로부터 받은 압력이 같았는가 달랐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여기서는 개국조약이라는 data(資料)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3) 표류 및 난파선원의 보호(3, 4, 5조) : 선원을 구조하여 본국에 인도하도록 되어 있따 그리고 타국인에 대상으로하여는 ‘정직의 법도’(just law)가 적용되도록 한다.

(1) 최혜국대우조항(1, 9조) : 다른 나라들이 받는 혜택을 자동적으로 미국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 日本 의 개국조약

1. 신내천(카나가와)조약(1854)

12개 조항으로 구성된 간략한 조약인 신내천조약이 체결된 것은 1854년 3월이다. 하전는 무역항으로서의 가치가 없었고, 상관는 태평양 항로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리고 그 이유로서 전통적으로 china·홀란드와만 무역을 해왔다는 사실을 내세운다. 개국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은 소수의 다이묘(대명)들에 불과했다.
(2) 하전(시모다)와 상관(하꼬다떼)의 개항(2조) : 그러나 중요한 점은 이 두 항구는 무역항이 아니라, 식량 및 석탄의 공급항으로서 개항되었다는 점이다. 조약체결의 임무를 띤 페리 제독이 노포크(Norfolk)를 출발한 것이 1852년 11월, 그가 日本 의 우리가(포하)에 도착하는 것이 1853년 7월이다. 이 주장을 페리가 받아들임으로써, 마침내 일미화친조약(日本 국미리견합china화친조약)이 동경만 앞쪽의 횡빈 근처인 신내천에서 체결된다 이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drop)



설명
다. 여기서 다수의 제후가 반대의 의사를 표시한다. 결국 막부는 굴복하여, 조약을 체결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막부는, 수교, 표류민 보호, 개항에는 동의할 수 있으나, 통상만은 안된다는 입장을 고집한다.
페리 제독의 개국요구에 대하여 막부는 의사를 결정하지 못하고, 제후들의 意見(의견)을 구한다. 이에 페리는 함대를 나마무기(생맥)에 집결시켜 무력시위를 처음 한다. 그러나 日本 은 당시 이 조항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알지 못했다.
전체 18,26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