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송악산 > field3 | field.co.kr report

송악산 > field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3

송악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14:57

본문




Download : 송악산.ppt






나. 2차 화산 폭발
1000~1007년 전(고려시대) 1차 분화구 안에서 폭발
2차 폭발로 주봉이 생기고, 그 안에 깊은 제2분화구가 형성되었다.
양옆의 외륜이 무너져있다
송악산 분화구의 둘레에는 커다란 응회환이 존재한다.
해안가에서 여러가지 화산쇄설물 의 분출, 퇴적상을 볼 수 있다
3. 해안가의 응회암층리의 …(drop)
송악산 , 송악산기타레포트 , 송악산


송악산,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송악산

순서


송악산




송악산_ppt_01.gif 송악산_ppt_02.gif 송악산_ppt_03.gif 송악산_ppt_04.gif 송악산_ppt_05.gif 송악산_ppt_06.gif


다.
2. 중앙분화구 주변
가. 스코리아의 특징
구멍이 뚫려있다
물위에 뜬다. 건성천이 과정을 통하여 송악산이 이중화산임을 밝힘

1. 산위의 분화구 지형
가. 1차 화산 폭발
약 10만년전, 바닷속에서 마그마 분출
두가지설-분화구 하나에서 지속적 분출
-화산탄 날아온 방향으로 보아
바닷가 ‘형제섬’에서 분화
¼ 정도만 남고, 나머지는 바닷속으로 침식하여 해안 절벽을 이룸
마그마 속 가스가 팽창→기공형성→Fe,Mg이 산소와 결합→붉은색을 띤다.
국 그릇 안에 오목한 밥공기를 넣은 것 같은 모양이다.
2차 폭발이 일어난 부분에서는 관목들이 주로 자람.
둘레가 400m, 길이가 69m로 경사각이 70도정도이다.설명

Download : 송악산.ppt( 20 )


송악산
김승민
次例
1. 산위의 분화구 지형
-가. 1차 화산 폭발
-나. 2차 화산 폭발
2. 중앙 분화구 주변
-가. 스코리아(scoria)의 특징
-나. 화산지대에서 observation할 수 있는 노출되어있는 특징
3.해안가의 응회암 층리의 특징
4.이중화산의 분화구 주변의 건성천이 과정
-가. 1차 폭발로 만들어진 분화구 주변의 현재 천이 진행 과정
-나. 중앙 분화구의 현재 천이 진행과정
-다.
붉은색- 산소와 결합한것.
검은색-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것.
나. 화산지대에서 observation할 수 있는 노출되어있는 특징
99개의 작은 분화구가 있다
오름의 높이에 비해 분화구가 깊다.
스코리아층 observation이 가능하다.
전체 18,26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