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의 인식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7 18:06본문
Download : 도가의 인식론.hwp
명지는 무지에 의해서 체득되는 고차원의 지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도가의 인식론
순서
무지가 진지를 얻기 위한 인식상의 방법이라면 그러한 방법에 의해서 체득한 진리를 <명지>라고 한다. 따라서 노자에 있어서 무지란 지가 심화하여 상대지를 넘어서 무지로 된 것, 곧 지의 자기탈각인 것이다. 도가는 추론적 지식보다 직관적 지혜에 더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명지는 무지에 의해서 체득되는 고차원의 지로서 분별지가 전혀 없으면서도 알지 못하는 것이 없는 무지의 지이며 직관적 지이다. 그렇게 해서 우…(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도가의 인식론.hwp( 69 )
다. 명지는 지의 세계를 초월한 <무지의 지>이며, 도의 움직임의 실상을 아는 <전능지>라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지는 일차적으로 대립과 모순을 포월하는 근원처에서 성립한다.
우리가 진지를 얻기 위해서는 도와 나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일체의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그것은 인간의 리성으로는 결코 도를 체득할 수 없다는 공고한 신념에 근거하고 있다아
노자는 추론하고 변별하며 시비하는 상대적 지를 부정하고, 도의 진상을 알아 도의 움직임과 일체가 되는 근원적인 절대지를 긍정한다. 명지는 무지에 의해서 체득되는 고차원의 지로... , 도가의 인식론인문사회레포트 ,
무지가 진지를 얻기 위한 인식상의 방법이라면 그러한 방법에 의해서 체득한 진리를 <명지>라고 한다.,인문사회,레포트






무지가 진지를 얻기 위한 인식상의 방법이라면 그러한 방법에 의해서 체득한 진리를 <명지>라고 한다. 학문을 하면 지식과 욕망이 증가하지만, 도를 체득하면 일체의 상대적 지식과 욕망이 사라진다. 추론적 사유의 한계와 상대성을 인식한 도가는 근본적으로 이로부터의 해방의 길을 걸은 것이며, 바로 이 점에서 요가나 힌두교의 베단타 또는 붓다의 팔정도에 비견될 수 있다아 china(중국) 文化의 맥락에서 보자면 도가적 해방은 특히 일상적인 분별적 상대적 인식태도로부터의 탈피를 의미한다. 또한 학문을 한다는 것은 대상사물에 관한 경험적 지식과 사유 분별을 쌓아감으로써 그 goal(목표) 를 달성할 수 있다아 그러나 도를 체득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의식 가운데서 경험적 지식과 사유 분별을 덜어(손) 나가야 한다. 인습적 지식과 리성에 대한 불신은 서양철학의 다른 어느 학파에 있어서보다 도가에 있어서 한결 강하다. 그러한 것들은 우리가 도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선입관 내지 편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그래서 노자는 `학문을 하면 날마다 더해 가지만, 도를 체득하려면 날마다 줄여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