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 상태감시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1 01:18본문
Download : 중환자의 상태감시법.hwp
④ 전도자(transducer)는 심장 높이에 둔다.
중환자의상태감시법
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카테터의 끝의 위치를 흉부 X선촬영으로나, 끝이 보이거나 환자를 45°로 상체를 올려 앉힐 때 카테터의 수면이동 유무로 안다.
중심정맥압의 정확한 측정(測定) 을 위해서는 우선 카테터를 정확히 우심방에 넣어야 한다. 정상치는 5~10cmH₂O이며 측정(測定) 할 때는 기저점을 우심방의 중앙부위에 두어야 한다. 이 CVP가 증가하면 수액의 과다 공급이나 울혈성 심부전증을 의마하며 낮아지면 실혈, 탈수, 심수축력호전을 의미한다.설명
레포트/의약보건
3) 직접 동맥압 측정(測定) 시의 간호관리와 책임
① 비록 직접 동맥압을 측정(測定) 하여도 간접혈압 측정(測定) 법을 한시간에 한번은 실시 기록한다. 그리고 튜브가 꺾이지 않도록 하고 환자가 움직여도 여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③ 혈압의 연결 튜브에 이상유무와 실혈을 확인한다.
② 요골동맥에 카테터를 거치하고 있다면 손가락의 순환상태를 확인한다. 중환자의상태감시법 , 중환자의 상태감시법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중환자의 상태감시법.hwp( 69 )
중환자의 상태감시법과 중환자의 순환상태감시법에 대해 說明(설명) 했습니다.
(3)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중심 정맥압이란 우측심방의 팽만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혈관내의 혈액이나 수액의 공급도 가능하게 한다. 중심정맥 측정(測定) 요 카테터를 삽입하는 부위는 팔, 목, 흉곽의 쇄골하부 등 여로 부위에서 가능하며 그 끝은 반드시 제 위치에 있지 않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카테터를 거치 후에는 반드시 끝을 여러 가지 손 쉬운 방법으로 확인해야 하며 쉬운 방법의 하나로서는 중심정맥압 측정(測定) 시 환자가 숨을 쉴 때 같이 움직이는 것으로 호흡운동 즉, 호기 때 올라가고 흡기때 낮아지는 變化가 동시에 잘 생기고 있다면 대체로 제 위치에 있다고 본다
(4) 폐동맥압 측정(測定) 법
심장을 대체로 우심실, 우심방, 좌심실, 좌심방으로 나누어 크게 우측심장과 좌측심장으로 구분되며 우측심장은 전신순환 후 돌아오는 정맥혈이 있는 반면 좌측심장은 폐순환 후 동맥화된 동맥혈을 가지고 있따 뿐만아니라 심기능의 활동이란 심수축력과 혈액량에 의하여 나타나느…(투비컨티뉴드 )
중환자의 상태감시법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중환자의 상태감시법과 중환자의 순환상태감시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⑤ 동맥혈의 검사용 채혈은 tree way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