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co.kr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 field5 | field.co.kr report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 field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field5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22:15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hwp




리치몬드의 주요 concept(개념)들은 Freud의 사고와 결합되어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실천 모델로서의 심리사회적 준거틀을 더욱 확고히 했다.
모든 사회복지실천이 심리사회적 concept(개념)들에 의존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사회복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하지만 심리사회적 모델의 주요 theory(이론)적 배경은 위에 제시했듯이 정신역동이며 ‘상황 속의 인간’의 시각을 강조하지만 개입의 초점은 역시 클라이언트의 심리 내적인 과정에 치중되어 있따


Ⅱ. 심리사회적 모델theory(이론)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hwp( 30 )






.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1084_01_.jpg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1084_02_.jpg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1084_03_.jpg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1084_04_.jpg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1084_05_.jpg




다.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심리 사회적 theory(이론)은 인간의 심리적 요소는 물론 그가 속한 사회 環境(환경)과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까지도 고려하는 3가지 측면에서 문제의 원인(原因)과 해결을 찾으려고 하는 theory(이론)이다. 심리 사회적 theory(이론)은 1940년 초반에 고든 해밀턴(Gordon Hamilton)에 의해서 널리 알려졌는데 자신의 견해를 기능주의와의 차이를 설명(explanation)하면서 진단주의란 용어를 사용했다.
.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사회복지실천모델 가운데 심리사회적 모델의 기본 지식과 기술의 核心(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검토해 보고 적용하는 방법과 기술, 기법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녀의 저서《사회진단》(Social Diagnosis, 1917)은 사회사업가들로 하여금 사회적 병리는 環境(환경)에 대한 개입을 통해 개인을 變化시킴으로써 改善(개선)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도록 했으며, 이러한 관점의 수용은 사회사업의 전문직으로서의 지위를 높이게 하였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심리사회적 모델은 케이스워크의 과학적 기초를 주장한 리치몬드(Mary Richmond)로부터 처음 되었다. 진단주의적 접근을 ‘유기체적’ 접근, ‘차별적’ 접근 또는 ‘심리사회적’ 접근이라고 했는데 결국 ‘심리사회적’ 접근이라는 용어를 가장 대표적인 용어로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theory(이론)은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特性)뿐만 아니라, 신체 생리적인 상황속의 인간이란 관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심리사회적 모델에서는 인간의 문제를 심리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이해하면서 ‘상황 속의 인간’을 강조한다.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홀리스(Florence Hollis)는 심리사회적 theory(이론)을 사회사업 실천을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서, 사회사업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관련 전문직에서도 좀 더 일반적인 concept(개념), 즉 심리내적인 기능을 상호체계적인 기능과 통합하는 concept(개념)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홀리스는 케이스워크의 기본 원리로서 ‘상황 속의 개인’이란 concept(개념)을 주장하였다. 사회복지 history(역사) 의 관점에서 볼 때 심리사회적 접근은 개인 및 가족의 복지를 지지하고 사람들이 가지는 사회적 기능의 회복 및 대인 관계의 향상이라는 욕구에 부응하려는 노력에서 성장했다고 할 수 있따
사회복지 실천론 - 심리사회적 모델
설명



순서


1. history(역사) 적 기원 및 발달
심리사회적 모델의 기원은 정신分析(분석)의 theory(이론)과 concept(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따 심리사회적 모델은 홀리스가 집필한 『케이스워크: 심리․사회 치료』라는 사회복지실천 방법 교재를 통해 집대성되었고, theory(이론)적 배경으로 생태체계론, 정신역동theory(이론), 역할 theory(이론) 의사소통theory(이론) 등을 제시하였다.
전체 18,33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field.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