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12:48
본문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hwp
4.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2. 소악부의 창작배경
1) 민사평(1295~1359)
.
1) 이제현(1287~1367)
순서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 목 차 - 1. 소악부의 정의 2. 소악부의 창작배경 3.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1) 이제현(1287~1367) 2) 이제현의 소악부 4.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1) 민사평(1295~1359) 2) 민사평의 소악부 5. 소악부의 양식적 특징 1) 평이하고 친근한 시어 사용 2) 7언 정형적 율격 3) 압운과 성조 6. 소악부가 가지는 국문학사적 의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민사평의 소악부
2) 7언 정형적 율격
.
6. 소악부가 가지는 국문학사적 의의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2) 이제현의 소악부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hwp( 63 )
3) 압운과 성조
그는 탁원한 유학자로 성리학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라 향가와의 접목이 달성되지 못했던 한문학이 이제 고려속요와 접목을 통해서 우리나라 문학으로서의 한문학의 토착화라는 전통적 命題의 성취과정에 중요한 한 이정표가 되었다고 할 것이다. 1319년 원나라에 갔다가 충선왕이 모함을 받고 유배되자 그 부당함을 원나라에 밝혀 1323년 풀려나오게 했다.
고려 후기에는 문학理論에 대한 관심과 함께 개인의 정서와 삶의 문제를 주제로 삼으려는 새로운 창작 기풍이 형성 발전되어 갔다. 1314년 백이정의 문하에서 程朱學을 공부했고 같은 해 원나라에 있던 충선왕이 만권당을 세워 그를 불러들이자 燕京에 가서 원나라 학자 요수, 조맹부, 원명선 등과 함께 고전을 연구했다. 문학에 있어서는 도와 문을 본말의 관계로 파악하여 이들을 같은 선상에 두면서도 도의 전달에 상대적인 비중을 두는 문학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속요나 시조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형태이다. 1301년 15세에 성균시에 장원, 이어 대과에 합격했다. 고려 후기 등장한 신흥사대부들은 지방의 在地勢力으로 성장하여 중앙 정계에 진출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경제적 기반이 되는 농민들의 삶의 문제에 예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金克己와 李奎報 등이 농민들의 피폐한 삶과 처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시작함으로써 신흥사대부들의 사실주의적 문학이 나오게 된 것이다. 1357년 문하시중에 올랐으나 사직하고 학문과 저술에 몰두했다.
우리나라에서 일컫는 소악부란 고려 때의 익제 이제현이 우리 고유의 민요를 칠언절구의 한시로 번역한 데서 由來되었다.
1) 이제현(1287~1367)
5. 소악부의 양식적 특징
2. 소악부의 창작배경
설명
.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성리학을 들여와 발전시켰으며 많은 시문을 남겼다. 1303년 권무봉선고판관과 연경궁녹사를 거쳐 1308년 예문춘추관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충목왕 때는 개혁안을 제시하여 格物致知와 誠意正心의 도를 강조하기도 했다. 즉 문자로 기록한 민간의 노래였기 때문에 악부라고 하는 중국(中國)의 용어를 가져다 썼으며,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악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신흥사대부들은 어쩔 수 없이 그들이 기반하고 있던 기층민의 삶에 무감각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신흥사대부들은 고려 후기 새롭게 등장한 악부문학을 통해 사실주의적 창작 경향을 표출하였다.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3.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악부는 중국(中國) 한대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거기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인 시가를 악부라 하였는데 그 뒤 음악과 함께 쓰이지 않고 시가만 독립하게 되었다.
- 목 차 -
1) 평이하고 친근한 시어 사용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3.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고찰 -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다. 요약해보면 소악부란 절구체이면서 내용은 고려 속요나 조선의 시조를 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즉, 표기수단을 가지지 못한 구전의 속요들을 7언 절구의 시형식을 빌어 재현시킨 것이다.
1. 소악부의 definition
소악부란 쉽게 말해 당시 유행했던 속요를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한문학의 악부 속의 한 분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