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7 14:11
본문
Download :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hwp
마치 엄청난 바람에 꺽인 듯이 거친, 그렇지만 강한 힘이 느껴지기보다는 외로워 보이는 나무, 이에 더해 그 옆에 홀로 말을 타고 다리를 건너는 선비의 뒷모습은 겨울의 고독함을 표현하기에 충분했다. 사람의 뒷모습은 언제나 서글픈데 주위의 적막함과 함께 슬퍼보이기도 한다. 맹호연은 왜 매화를 찾고자 했을까? 선비의 처진 어깨와 기운없어 보이는 당나귀의 뒷모습이 산의 차분함과 어우러지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 화가가 꿈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그런 습성을 가깝게 느낄 수 있다아 작가는 어쩌면 고사의 한 장면이 아니라 바람이 매서운 그 겨울 떠나가는 선비의 뒷모습을 …(省略)
%EC%99%80%20%EB%AC%98%EC%9E%91%EB%8F%84(%E7%8C%AB%E9%B5%B2%E5%9C%96)_hwp_01.gif)
%EC%99%80%20%EB%AC%98%EC%9E%91%EB%8F%84(%E7%8C%AB%E9%B5%B2%E5%9C%96)_hwp_02.gif)
,예체능,레포트
동양文化(문화)예술사
레포트/예체능
다. 아직은 거리의 나뭇잎이 떨어지는 중이고 바닦에 가을색의 잎들이 많은데도 설중탐매도의 풍경은 밖의 풍경도 한겨울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했다.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에 대한 입니다.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를 바라보며 더욱더 겨울이 가까워졌음을 느낀다.
처음 그림 앞에 섰을 때 가장 먼저 보인 것은 무척이나 거칠어 보이던 나무들이었다.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평범한 사람도 전문적인 화가도 사진사의 그것처럼 아름다운 풍경을 보게 되면 그림으로 그리기에 좋은 각도로 바라보게 되는 버릇이 생긴다.
현대의 그림에서처럼 갖가지 물감을 사용한 것도 아닌데 흰눈에 덮인 듯한 산을 절묘하게 표현하여 겨울을 느끼게 해줌은 실로 대단하다.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에 대한 자료입니다. 화가 심사정(1707~1769)은 겨울의 매서움과 쓸쓸함, 공허함(?)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놓았다.쌀쌀맞아 보이는 그림만 봐서는 매화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설중탐매도는 당나라 때의 시인 맹호연(孟浩然)이 파교를 건너 설산에 들어가 매화를 찾아 다녔다는 고사를 소재로 한다. 얼마전까지만해도 노랗게 무성하게 흔들리던 은행나무도 이제는 헐거워지고 눈옷을 기다리는 듯하다. 어제는 일기예보에 눈소식이 있다고 들었건만 역시나 일기예보는 믿을게 못되나 보다. 동양문화예술사 ,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hwp( 63 )
순서
설중탐매도(雪中探梅圖)와 묘작도(猫鵲圖)
설명
-<설중탐매도,비단에 담채,115cm x 50.5cm ,국립중앙박물관 ,1766>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이제는 정말 겨울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