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시 운동양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09:25본문
Download : 모더니즘시 운동양상.hwp
첫 단계
1925년 결성된 카프에 의해 한국 문학 및 시는 현저히 모더니티 지향성으로 규정
다다이즘, 반낭만주의의 여파로 발생. 일상어의 사용, 새로운 리듬의 창조, 제재의 자유로운 선택, 명확한 사상(이미지)을 줄 것, 집중적 표현을 존중할 것을 주장함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다른 하나의 일반론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외래적인 요인) => 바이런의 「차일드 해롤드의 순례」의 끝부분과 흡사
『태서 문예 신보』=> 서구 상징파 시들이 紹介(소개) 됨, 김억, 황석우가 주로 함
이에 대한 반동으로 1930년 창간된 시전문지『시문학』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 식민지 시대의 계급투쟁을 목적=> 경직된 이데올로기 일변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전통 지향성과 모더니티 지향성의 융합으로 규정됨. 시문학파를 순수시파라고도 함. 카프 시의 경직성과는 극히 대조적임. 정지용 ‧ 김영랑으로 대표되는데, 그 속성 은 시는 사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언어로 쓰는 것이며 언어적 측면과 음악적 리듬의 발굴에 주력하여 우리말의 시적 가능성을 보여줌.
=>모더니티에 대한 반발 발생 p.323 김억의 글
설명
Download : 모더니즘시 운동양상.hwp( 44 )
당시 한국이 일제 식민지하에 있었기에 전통 지향성은 곧 민족주의와 동질적인 것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이미지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의 세계 내지는 꿈의 세계의 표현을 지향하는 20세기의 문학·예술사조.
협의: 1920년대부터 등장한 이미지즘과 그것에 유사한 정신 및 기법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광의: 근대 이후 나타난 ‘무의미함의 의미’를 암시
순서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둘째 단계
전통 지향성의 구체적 전개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Ⅱ. 한국 근대시의 출발
둘째. 김소월 ‧ 한용운 등의 민요적 리듬과 민족의식을 담은 서정시의 가락의 형성
.
한국문학사에서 모더니즘: 전통 지향성과 근대(모더니티) 지향성의 변증법적 발전.
이후 『백조』, 『금성』등의 시 전문지 등장 => 서구 근대시로의 지나친 편향성
셋째 단계
둘째. 1930년 한국 근대시의 성장이 두 지향성의 변증법적 발전에 의해 자체적 성장
첫째. 1931년 만주사변 발발과 함께 가해진 日本 제국주의의 탄압의 강화 (전통적+근대적)
첫째. 한국 고유의 자생적 시가인 ‘시조’의 부활
1925년부터 1930년대 두 지향성의 갈등에서 서서히 모더니티 지향성이 우세 및 강세
.
김억 「오뇌의 무도」라는 번역 시집을 발간=> 한국 근대시 발전에 기여
1935년 전후 순수시파에서 일어난 모더니즘 시운동.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
1920년 전후 한국에 있어서 시 장르 선택의 조건 : 3 ‧ 1 운동의 실패가 민족적 허무주의로 나타남. 한 사회가 나아갈 지평이 확정되지 않거나 윤곽이 분명하지 않을 땐 소설적 개괄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장르의 일반 법칙. 그리하여 시 장르가 활성화 되었고 1925년 무렵 소설 장르 선택이 가능해지고 김억의 자기비판은 뚜렷한 이유를 가짐.
심리주의, 큐비즘 등
모더니즘시 운동양상
초현실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앙리 베르그송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의식의 흐름’과 ‘내면의 독백’ 등의 수법으로 써진 문학을 말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