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예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9 13:39본문
Download : 순자의 예론.hwp
순자의예론 , 순자의 예론인문사회레포트 ,
순자 철학의 개요를 알아보고 예론의 내용에 관련되어 조사하였습니다. 순자는 치국 수신의 예의법도는 성인이 제정한 인간들 스스로 발명한 것이지 천이 만들어 낸 자연존재적인 것이 아니라고 하여 천도에 의거하지 않는 人道의 건립 즉 人爲主義를 말한다.
`인간의 본성은 원래 악한 것이니, 선이라고 하는 것은 인위적인 노력에 의한 것이다.
Ⅱ. 순자 예의 철학적 근거
1. 순자 철학의 개관
(1) 천론
순자에 있어서 천의 concept(개념)은 자연 현상이고 의지가 없는 것이다. 성과 지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심리 成分으로 性 중에는 결코 知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고 볼 수 있으며, 이 공자의 예 사상을 넘어선 이가 바로 순자 이다. 맹자는 예의 근본인 인의를 주장하여 공자의 감화 정신에 대하여 충분한 보충과 발전을 가져왔으나 그 내용은 공자의 예 사상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僞를…(drop)
Download : 순자의 예론.hwp( 75 )
순자의예론
순자의 예론
다. 그러므로 공자는 예는 습관과 풍속에 합치해야 하며 법령같이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보다는 감화 방면에 중점을 두었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어 이것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 ... 반드시 법에 의거하는 교화와 예의의 법도가 있어야 남에게 사양할 줄 알고 사회의 질서를 지킬 줄도 알아 세상의 평화가 유지될 것이다. 순자는 심리 작용을 세 종류의 成分으로 나누는데, 하나는 性, 둘째는 知, 셋째는 能이다.
(2) 성악설
순자의 예 사상은 성악설에서 그 논리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공자의 예 사상은 맹자에 계승되었는데, `공자가 말하는 예의 근본은 바로 仁義이다. 즉 순자는 천지(自然)는 스스로 다스릴 수 없는 까닭에 군자나 성인 즉 인간에 의해 다스려 지는 것이므로 무조건 하늘을 칭송하는 것은 하늘을 이용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한다.






설명
순자 철학의 개요를 알아보고 예론의 내용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Ⅰ. 孔子의 禮
Ⅱ. 순자 예의 철학적 근거
1. 순자 철학의 개관
2. 순자 철학에 있어서 가치의 근원
3. 성인, 성왕의 concept(개념)
Ⅲ. 예의 내용
1. 예의 기원
2. 예의 함의와 범위
3. 예의 작용 원리
4. 禮의 효용
Ⅳ. 예와 다른 concept(개념)의 관계
Ⅴ. conclusion(결론)
Ⅰ. 孔子의 禮는 일종의 감화적 도구이다. 그러므로 순자는 天人之分을 명확히 한다. 이렇게 보면 인간의 본성은 악한 것이고 선이라고 하는 것은 인위적인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고 말한다. 즉 性은 자연적인 것이고, 僞는 사람의 힘으로 양성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