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록 ]군주론(마키아벨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2 12:54본문
Download :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hwp
- 풍경을 그리는 사람들이 산과 고지대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 평지에 자신을 두고, 저지대를 살피기 위해 산의 높은 곳에 자신을 두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민의 본질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군주가 되어야 하고, 군주의 본질을
이 책은 기존의 상식을 무참히 깨버린다. 현대 정치와의 연관성도 생각해 봅시다 ~ !!
본론은 마키아벨리의 주요 사상을 발췌하여 구성하였고, 감상에서는 맹자와 토머스 모어의 사상과 비교하여
요약해 보았습니다. 사실 이 책도 과거의 책이긴 하지만 지금도 공감이 많이 간다. 이런 불신을 인정한다면 이렇게 가혹한 리더가 더 현실적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현대 정치와의 연관성도 생각해 봅시다 ~ !!
[독서록 ]군주론(마키아벨리)
2, 본론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1602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5/%5B%EB%8F%85%ED%9B%84%EA%B0%90%5D%EA%B5%B0%EC%A3%BC%EB%A1%A0(%EB%A7%88%ED%82%A4%EC%95%84%EB%B2%A8%EB%A6%AC)%206-1602_01_.jpg)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1602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5/%5B%EB%8F%85%ED%9B%84%EA%B0%90%5D%EA%B5%B0%EC%A3%BC%EB%A1%A0(%EB%A7%88%ED%82%A4%EC%95%84%EB%B2%A8%EB%A6%AC)%206-1602_02_.jpg)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1602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5/%5B%EB%8F%85%ED%9B%84%EA%B0%90%5D%EA%B5%B0%EC%A3%BC%EB%A1%A0(%EB%A7%88%ED%82%A4%EC%95%84%EB%B2%A8%EB%A6%AC)%206-1602_03_.jpg)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1602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5/%5B%EB%8F%85%ED%9B%84%EA%B0%90%5D%EA%B5%B0%EC%A3%BC%EB%A1%A0(%EB%A7%88%ED%82%A4%EC%95%84%EB%B2%A8%EB%A6%AC)%206-1602_04_.jpg)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1602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5/%5B%EB%8F%85%ED%9B%84%EA%B0%90%5D%EA%B5%B0%EC%A3%BC%EB%A1%A0(%EB%A7%88%ED%82%A4%EC%95%84%EB%B2%A8%EB%A6%AC)%206-1602_05_.jpg)
운은 여자이기 때문에 항상 젊은 남자들을 좋아하니, 그들은 덜 신중하고 더 열렬하기 때문이요, 그리고 더 대담하게 그녀를 부리기 때문일것이다
만약 내가 대통령을 욕한다면? 너 같은 하찮은 것이 저 높으신 분의 뜻을 어떻게 알겠냐고 욕을 먹을 수도 있따 윗분들은 윗분들이 알아서 하시겠지. 하지만 마키아벨리는 일반인이지만 대통령이라고 할 수 있는 군주의 행실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런 논리라면 하찮은 평민이 군주의 길을 제시한다는 것이 어불성설일 수 있따 그런 비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마키아벨리는 시작과 동시에 초석을 깔아 놓는다.
3, 감상
3. 감상
군주론, 마키아벨리, 군주론 감상문, 군주론 독후감
Download : [독후감]군주론(마키아벨리) 6.hwp( 84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순서
다. 잔인한 내용에 혀를 차면서도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떡끄떡하고 있따 사실 점점 사회가 비인간화 되어가면서 인간에 대한 불신이 만연한 게 사실이다.
1. 서론
지금의 혼란한 시대 상황과 맞아 떨어지면서 재조명 받고 있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입니다. 감성에서 벗어나 이성적으로 행동하여 결국 밑에 사람들이 행복하다면, 그 결과로서 인정받으면 된다고 하는 작가의 말도 일리가 있따 결국 시 민 들은 착한 군주보다 자신들에게 이익을 주는 군주를 더 선호할 테니 말이다.
지금의 혼란한 시대 상황과 맞아 떨어지면서 재조명 받고 있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입니다. 본론은 마키아벨리의 주요 사상을 발췌하여 구성하였고, 감상에서는 맹자와 토머스 모어의 사상과 비교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혹하다기 보다는 냉철한 군주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까? 정치는 종교적 影響이나 윤리적 규범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고 하는 것이 나쁘게 살라는 말은 아니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