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槪念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1:07
본문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hwp
연구 초기에 있어 잡가는 그 갈래적 정체성을 찾아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범주의 문제까지 불분명하여 혼란이 거듭되었다. Ⅲ. conclusion
순서
경기 12잡가는 18세기 중반으로부터 스타트하여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경기지방의 잡가이다.
- 목 차 -
Ⅰ. 서론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槪念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Ⅱ. 본론
3. 잡가 발생의 당위성과 경기 12잡가의 발생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槪念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잡가의 개념과 갈래설정 2. 잡가의 종류와 잡가집 3. 잡가 발생의 당위성과 경기 12잡가의 발생 4. 경기12잡가의 특징 Ⅲ. 결론
하지만, 최근 들어 잡가를 독립적인 갈래로 대체적으로 인정하게 되면서, 잡가의 본질 규명을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잡가’ 갈래의 본질 규명이 먼저 이루어져야만 경기 12잡가에 대한 특징이 열거될 수 있을 것이다.
2. 잡가의 종류와 잡가집
다. 잡가는 향유층이 뚜렷할 뿐더러 1900년대 초반에 잡가집이 대량 출간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다아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12잡가는 국악의 한 종류로써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국악사에 있어 중요한 reference(자료)가 될 것이다. 그 본질을 규명함에 있어 음악적 측면으로, 혹은 문학적 측면으로 편향되어 서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문학적으로 여러 갈래와 상호교섭을 하고 있으며, 현재 이들을 넘나들고 있는 상황인 만큼, 국문학에 있어서 잡가의 실체에 대한 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잡가’라는 갈래에 있어서도 민요로 포함시키기도 하고, 가사로 포함시키기도 하는 등, 독립적인 갈래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견해까지 나와 그 정체성을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었다. 이러한 작업이 음악적 층위에서의 경기 12잡가의 특성(特性)과는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렇지만, 문학적 측면에서의 12잡가는 그 본질을 규명해내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경기 12잡가의 여러 특성(特性)들을 통해 경기 12잡가의 특성(特性)을 밝혀낼 것이다. 잡가가 비록 唱을 전제로 한 연행물이기는 하나, 잡가에 대한 문학적 해석은 꼭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잡가의 갈래 설정에 있어 그 본질을 어디에 둘 것이며, 문학적 관점에서의 갈래 설정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의 문제나 음악적 측면에서의 잡가의 특징은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4. 경기12잡가의 특징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槪念 갈래설정 종류와 잡가집
.





설명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갈래설.hwp( 33 )
1. 잡가의 槪念과 갈래설정
.
따라서 본 고에서는 문학적 관점에서의 ‘잡가’라는 갈래의 본질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